2024.01.23 (화)

  • 맑음동두천 -12.4℃
  • 맑음강릉 -8.6℃
  • 구름많음서울 -11.2℃
  • 대전 -8.8℃
  • 맑음대구 -6.2℃
  • 맑음울산 -5.3℃
  • 광주 -5.3℃
  • 맑음부산 -4.2℃
  • 구름많음고창 -5.7℃
  • 제주 0.7℃
  • 구름많음강화 -11.3℃
  • 흐림보은 -8.9℃
  • 구름많음금산 -8.5℃
  • 흐림강진군 -3.7℃
  • 맑음경주시 -6.2℃
  • 맑음거제 -3.7℃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포스코건설, 수익성ㆍ재무건전성 두 마리 토끼 잡았다

3000억대 이익, 부채비율 70%p↓..주택비중 95%는 '빨간불'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2016년 해외현장의 손실로 대규모 적자를 내고 상장의 기대를 접어야 했던 포스코건설이 지난 2년 안정된 수익은 물론 재무구조까지 빠른속도로 건전성을 찾고 있어 업계와 주식시장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지난 1일 증권감독원에 2018년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시장에 공시했다. 주식이 상장되지 않아 다른 상장 건설사보다 다소 공시가 늦었다.


공시된 사업보고서를 살펴보면, 포스코건설은 지난해에 매출 7조 280억원, 영업이익 3041억원, 당기순이익 1335억원을 실현했다.


매출은 전년도보다 0.13%, 영업이익은 1.3% 증가해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했지만, 3년 전인 2016년 영업손실 5090억원, 당기순손실 6782억원을 기록해 회사가 큰 위기에 빠졌던 것을 감안하면 이제 안정 기조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물론 업계 일각에서는, 다른 건설사들이 지난 3~4년 주택시장에 불어닥친 대 호황으로 커다란 이익 증가를 보인 것과 비교하면 아쉬움이 남는다는 시각도 있다.


■ 부실채권 회수로 증가한 보유현금, 차입금 상환에 사용


회사가 2년 연속 안정된 영업실적을 보이면서 회사의 자산과 부채 등 재무구조도 빠른 속도로 건전성을 회복했다.


특히, 그동안 포스코건설의 골치거리였던, 송도개발사업 채권 6046억원이 지난해에 회수되고, 포스코센터 베이징 지분을 매각해 현금 3370억원이 들어와 현금보유고가 넉넉해졌다.


포스코건설은 이렇게 증가된 현금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말에 1조8039억원에 달했던 차입금이 2018년 말에는 7957억원으로 1조원 이상 줄었다. 55.9%가 감소해서 차입금이 절반 이상 줄어 들었다. 


그 내용도 1조3595억원으로 차입금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단기차입금을 2461억원으로 줄여 급박한 차입금 상환의 부담을 거의 대부분 해소했다는 평가다.


포스코건설은 2017년에도 부채를 1조원 가량 줄여 2년 연속 부채를 1조원씩 줄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따라 부채비율도 2016년에는 203.1%로 자기자본의 2배가 넘었지만 2017년에 170.7%, 그리고 지나해말에 138.5% 까지 떨어지는 등 재무구조의 건전성도 빠르게 회복됐다.




이렇게 수익성이 안정되고 재무구조가 건전화 되면서 신용평가 등급도 상향됐다.


한국신용평가(이하 한신평)는 지난 5일 포스코건설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은 현행 A를 그대로 유지하지만, 전망은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한다고 발표했다. 한신평은 "포스코건설의 재무 부담이 줄고 추가적인 재무구조 개선 가능성이 있다"고 등급상향 이유를 설명했다. 


추가적인 재무구조개선에 대해서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2월 송도개발사업 채권 1450억원이 추가로 회수되고 지난해 말 기준 3381억원에 이르는 CPS제철소 프로젝트 채권도 회수될 것으로 전망했다.


■ 주택건축부분이 이익의 94.5% 차지, 지나친 사업구조 편중에 '경고등'


포스코건설이 지난 2년 동안 수익과 재무구조를 안정화하면서 시장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포스코건설에 경고등이 들어왔다는 지적도 나온다.


무엇보다 사업구조가 지나치게 편중돼있는 것에 위험 신호를 보내고 있다.


포스코건설의 사업부문별 매출을 살펴보면, 주택건축사업부문이 4조7134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67%를 차지하고 있다. 그외 에너지사업이 1조768억원, 토목인프라가 6474억원, 플랜트가 5809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주택건축부문이 지난 한 해 6037억원의 매출 증가세를 보이는 동안, 나머지 사업부문은 모두 1000~2000억원의 실적 감소를 보여 사업의 다각화 측면에서 안정성이 약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매출은 그나마 덜하다. 영업이익은 주택건축부문이 2875억원의 이익을 기록해서 회사 전체 영업이익의 95%를 차지했다. 


반면, 토목인프라사업은 165억원의 영업이익에 그쳤고, 플랜트가 41억원, 에너지사업이 33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둬 나머지 사업부문의 회사 공헌도가 사실상 실종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택사업의 비중이 이렇게 회사 영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부동산 시장은 지난해 말부터 급격히 침체 분위기로 전환되고 있어, 주택사업에 지나치게 편중된 포스코건설의 향후 영업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에 신용등급을 상향한 한신평도 “입주물량의 증가, 정부의 가계부채 및 부동산 규제 등으로 인해 주택 경기가 하강 국면에 진입했다”며 “포스코건설은 올해 약 2만 6000가구의 분양을 계획하고 있어 향후 실적에 대해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위험신호를 보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