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3 (일)

  • 흐림동두천 21.3℃
  • 흐림강릉 21.3℃
  • 흐림서울 22.7℃
  • 대전 22.3℃
  • 흐림대구 24.3℃
  • 흐림울산 22.7℃
  • 흐림광주 22.4℃
  • 흐림부산 23.1℃
  • 흐림고창 22.1℃
  • 제주 22.9℃
  • 구름많음강화 22.4℃
  • 흐림보은 22.2℃
  • 흐림금산 22.1℃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22.4℃
  • 흐림거제 22.8℃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색조 화장품 전문 ‘클리오’ 최대 실적 행진 '순항'...비결과 전망은?

2024년 1분기 연결 매출 전년比 23.8%↑ 영업이익은 62.5% 급증
H&B·면세·온라인 채널 전략과 미주 시장 공략 주효..국내외서 선전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색조화장품 전문기업 ‘클리오’가 지난 2020년 이후 매년 외형과 손익 공히 창사 최대치를 갈아치우며 순항을 거듭하고 있다. 

양사 1분기 보고서 및 조세금융신문 보도에 따르면 양사의 연결매출은 2020년 2182억 원, 2021년 2327억, 2022년 2725억, 2023년 3306억 원을 시현하며 사상 최대치를 갱신하고, 영업이익 역시 2020년 62억, 139억, 179억, 338억 원을 기록해 외형과 손익 모두 우상향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올 1분기까지도 계속 이어지고 있어 과연 이 같은 성장세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국내 뷰티업계 리딩기업 중 하나인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자회사 이니스프리의 경우, 올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대비 감소하는 등 부진을 보인 것과 달리 클리오는 외형과 영업이익이 각각 23.8%, 62.5%나 급증해 대조적인 성적표를 만들어냈다. 

이니스프리의 올 1분기 매출은 약 605억 원으로 전년 동기 667억 원 대비 약 9.4% 역 성장했고, 영업이익 또한 20억 원에 그치며 전년 동기 57억 원 대비 63.9%나 급감해 뷰티명가의 일원으로서 체면을 구긴 것. 

그러면 과연 클리오의 올 1분기 실적은 어떠했고, 그 비결과 향후 실적 전망은 무엇일까? 

1Q 매출 929억, 영업익 85억 시현...전년 동기 대비 23.8%, 62.5% 급증  
 

클리오가 최근 공시한 분기보고서와 조세금융신문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 기준 1분기 매출은 약 929.7억 원으로 전년도 750.7억 대비 약 179억 원이 늘어 23.8%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85억 원을 시현 전년도 52억 대비 62.5%나 신장하는 양호한 성적표를 시장에 내밀었다. 

이에 대해 클리오 측은 국내 및 해외에서의 고른 성장세를 꼽았다. 우선 올 1분기 국내 매출의 56% 비중을 차지하는 H&B 채널 매출은 내수 성장 및 인바운드 관광객 유입으로 인해 전년동기 대비 14%, 국내 디지털 채널 매출도 10%씩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는 각 디지털 채널별로 세분화된 소비자 타깃을 공략한 전용 제품과 마케팅이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었는데 이를 세분화해 살펴보면, 

먼저 국내 홈쇼핑 채널은 클리오 마그넷 팩트의 방송 호조가 이어지며 전년동기 대비 115%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고,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전개하는 자회사 클리오라이프케어 매출도 이너뷰티 제품을 중심으로 전년동기 대비 55%의 성장률을 달성했다는 설명이다.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도 건실한 경영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북미 매출은 구달 청귤비타C잡티라인 세럼의 인기가 크림까지 확대되면서 전년동기 대비 48%의 성장률을 기록했고, 

일본 매출은 현지화 전략을 통해 오프라인 채널 성장이 두드러지며 전년동기 대비 15% 늘었고, 중국 또한 클리오 아이팔레트가 카테고리 킬러 제품으로 자리잡으며 50%의 성장률을 달성했다. 동남아는 베트남, 싱가포르 등 주요국 중심으로 129%라는 고성장을 기록했다.

이에 대해 하나증권 박은정 연구원은 “글로벌 확장을 위한 마케팅 투자 확대로 수익성에 대한 의구심이 존재했음에도 분기 최대 매출과 믹스 개선에 힘입어, 예측 대비 수익성이 상승해 컨센서스에 부합했고, 일본/미국/중국/동남아가 유의미한 규모에 도달, 그로스 모멘텀을 확보한 점이 당기 실적에 유의미했다"고 평가했다.

올해 회사 측 경영전략과 증권가 전망은? 

하나증권 박 연구원은 향후 실적에 대해 “2024년 내수 리더십 주도 + 글로벌 점유율 확대 + 브랜드 다각화를 통해 ‘연결 매출 4천억원’ 돌파가 예상된다”며 “H&B/온라인/홈쇼핑이 견인하는 국내보다는 글로벌이 중심이 되어, ‘일본/미국/중국/동남아’가 그로스 모멘텀을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클리오 윤성훈 부사장은 “올해는 매 분기 성장 그래프를 그리며 전진함과 동시에 글로벌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글로벌 소비자 수요에 적중하는 차별화된 제품과 마케팅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감으로써 주주 여러분의 신뢰에 보답하고, 명실상부 K뷰티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