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4 (목)

  • 맑음동두천 5.5℃
  • 맑음강릉 12.8℃
  • 맑음서울 8.0℃
  • 맑음대전 8.0℃
  • 맑음대구 11.2℃
  • 맑음울산 10.9℃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12.2℃
  • 맑음고창 8.1℃
  • 구름조금제주 14.7℃
  • 맑음강화 6.2℃
  • 맑음보은 7.7℃
  • 맑음금산 6.5℃
  • 맑음강진군 10.2℃
  • 맑음경주시 11.3℃
  • 맑음거제 12.6℃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주택사업비중 80% 롯데건설, 역대최고 성과 내고도 '불안'

주택시장 냉각..대체할 토목·플랜트·해외사업 갈수록 위축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롯데건설이 지난해 역대 최고의 매출과 이익을 거두는 등 외형과 수익성 모두 큰 성장을 했지만, 환호를 울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사상 최대의 경영실적은 최근 3~4년의 주택호황에 크게 의존했는데 올해들어 주택열기가 급속하게 냉각되고 있기때문이다.


특히 다른 어떤 대형건설사보다 롯데건설은 주택건축부문이 전체 영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업계에서는 앞으로의 경영전망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 영업이익 5천억원 돌파...5년 동안 10배 성장


롯데건설은 비상장사이기 때문에 상장사들보다 늦은 지난 1일 사업보고서를 시장에 공시했다. 


지난 2018년 한 해 동안 롯데건설의 매출은 연결기준 5조9232억원으로 6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2013년 4조원대로 올라선 이후 4년만인 2017년 5조원을 돌파하더니 1년만에 6조원 턱밑까지 증가했다.


매출이 이렇게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회사의 수익성은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5년 전인 2013년 501억원이었던 영업이익이 이후 해마다 크게 증가하더니 지난해에는 5140억원을 실현해서 5년만에 10배가 넘는 성장세를 보였다.


당기순이익은 2013년 1644억원 적자였지만, 2년만인 2015년 흑자로 전환하더니 2017년 326억원 흑자에 이어서 지난해에는 1819억원으로 뛰어 올랐다. 단 1년만에 6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렇게 4년 전만해도 적자회사였던 롯데건설이 최근 3~4년 빠른속도로 외형과 수익성이 커지는 등 큰 성과를 냈지만, 업계에서는 롯데건설의 이번 사업보고서를 살펴보고는 축하를 해주기보다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 주택·건축 사업비중 60% → 80%, 지나치게 편중된 수익구조 우려


업계 관계자들은 롯데건설의 불안은 무엇보다 수익구조가 너무 한쪽으로 몰려 있기때문이라는 진단을 내놓는다.


롯데건설의 2018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롯데건설의 사업분야는 주택과 건축 부문, 토목부문, 플랜트부문, 그리고 해외부문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롯데건설은 각 사업부문의 매출액을 사업보고서에 표시했는데, 주택은 자체사업과 조합 등을 합쳐 4조7576억원의 매출실적을 기록했다. 반면, 토목부분은 4800억원, 플랜트 3330억원, 해외에서는 3035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10분의 1 수준에 그쳤다.  




각 사업부문별 매출을 회사전체 매출로 나누어 보면, 주택·건축 부문의 매출비중은 80.3%로 80%가 넘는다.


주택·건축 부문의 매출은 2015년 2.7조원이었으나 때마침 불어닥친 주택열풍에 힘입어, 2016년 3.1조원, 2017년 4.1조원으로 성장하면서 매출비중도 66%에서 80%로 커졌다.


매출비중이 이렇게 커진 것은 주택건축 부문의 성장때문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나머지 사업부문의 성장이 멈추거나 오히려 줄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2년 전만해도 각각 6000억원 가까운 실적을 내던 토목과 플랜트가 2017년부터는 3000~4000억원 수준으로 감소했다. 해외부문도 2017년 5208억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한 해만에 3035억원으로 줄어 들었다.


■ 주택시장...과잉공급과 억제정책으로 과거 침체기 수준으로 돌아가


롯데건설의 사업구조가 이렇게 주택부문에 회사전체 실적을 의존하게 됐는데, 그동안 호황을 보였던 주택시장이 급격히 식어가고 있어 롯데건설의 고민이 깊어진다.


국토교통부와 부동산114 등 주택시장 조사기관에 따르면 최근 3~4년 주택공급 규모는 55~77만 가구였지만 올해는 39만 가구 수준으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동안 워낙 많은 물량이 공급됐고, 정부의 부동산 억제정책도 효과를 발휘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물론, 이런 주택시장의 침체는 롯데건설만의 문제는 아니다. 최근 다른 건설사들도 침체하는 주택시장의 영항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애를 쓰고 있는 것으로 전한다.


최근 수주가 늘고 있는 동남아의 토목사업, 그리고 아직 불씨가 남아 있는 중동의 대규모 플랜트 사업 등 국내 주택사업을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며 사업구조의 변신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롯데건설의 경우 이렇게 사업구조를 갑자기 바꾸는게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겠냐는 업계의 평가가 나온다. 너무 과다하게 주택에 쏠려 있는 사업구조때문이다. 


다른 대형건설사들의 주택건축사업 비중을 살펴보면 SK건설이 28%로 대형사 가운데서는 가장 주택부문 비중이 낮다. 그리고 현대건설, 한화건설, GS건설이 40% 수준이다. GS건설은 지난해 가장 많은 아파트를 분양했지만 의외로 전체 매출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도 안됐다.


그리고 포스코건설, 대림산업이 50% 대의 주택비중을 기록했고, 주택명가를 강조하는 대우건설이 62%의 주택사업비중을 보였다. 


롯데건설은 지난해 가장 많은 주택을 공급한 건설사보다 또, 지난 10년 넘게 주택공급 1위를 자랑하던 건설사보다 더 매출이 주택사업에 몰려있는 사업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건설사 한 임원은 "회사 전체에서 어떤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면, 인력이나 조직, 그리고 설비 등 자산도 그 사업에 많이 실려있을 수 밖에 없다"면서, "몸무게가 무거우면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는 속도가 늦게 마련인데 지금 주택시장의 침체 분위기는 무척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건설의 경영 전망에 업계가 우려를 보내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