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2 (금)

  • 구름조금동두천 8.8℃
  • 구름많음강릉 12.1℃
  • 구름조금서울 10.5℃
  • 구름조금대전 9.7℃
  • 맑음대구 6.8℃
  • 맑음울산 7.9℃
  • 맑음광주 8.9℃
  • 맑음부산 11.3℃
  • 맑음고창 5.9℃
  • 구름조금제주 13.9℃
  • 맑음강화 8.8℃
  • 흐림보은 8.4℃
  • 맑음금산 7.1℃
  • 맑음강진군 7.1℃
  • 맑음경주시 4.5℃
  • 맑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기획PLUS

[주택동향] 주택가격...전국 5.8억원·서울 13.1(강남 23.7)·대전 4.4·대구 4.2

5년 상승률...전국 39%, 서울 52%, 대전 54%, 대구 20%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국내 공동주택의 평균 가격은 5억8400만원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8억 5100만원, 지방은 3억 4200만원이다.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공동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전국 공동주택 평균가격은 지난해 6월 6억원을 넘어섰지만 빅스텝이 있었던 7월부터 12.7% 감소해 올해 2월 현재 5억원대로 내려왔다. 수도권은 13.3% 하락했고, 지방은 11.0% 하락했다.


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한 2018년 1월 전국 평균가격은 4억1900만원이었고 지난해 6월 6억6900만원까지 59.6% 상승하며 역대 최고 상승속도를 기록했었다.


수도권도 2018년 1월 5억6700만원에서 2022년 6월 9억8300만원까지 무려 73.2%나 올랐고 이후 8억원대로 떨어졌다.


지난해 7월부터 가격이 하락하긴 했지만 2018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의 상승률을 보면, 전국 주택가격은 39.4%, 수도권은 50.1%, 지방은 23.0% 상승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집값은 2018년에 2배 차이였지만 현재는 2.5배 차이로 커졌다. 주택양극화가 더욱 심화됐다는 지적이다.




조금더 구체적으로 주요 시도의 주택가격을 살펴보면, 서울은 13.1억원으로 조사됐다. 5년 전 8.6억원보다 51.7%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에서도 서초구는 21.2억원, 강남구는 24.7억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4배 넘는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에는 서초 22.6억원, 강남 25.5억원까지 올랐지만 지난 7월 이후 각각 6.1%, 7.3%가 떨어졌다.


서초구와 강남구는 오를때는 전국 평균보다 많이 올랐지만 떨어질때는 평균보다 덜 하락해서 상대적 차이는 더 커졌다. 


5년전 전국 평균과의 가격 차이는 3.3배였는데 올해 2월에는 4.1배로 차이가 더 벌어졌다. 시장에서 말하는 '똘똘한 한 채' 효과가 가격 등락이 급한 시기에 더욱 크게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지방 대도시는 부산이 4.8억원, 대전 4.4억원, 대구 4.2억원, 광주 3.5억원으로 5억원에 미치지 못했다. 수도권의 경기도는 6.8억원, 그리고 세종시가 6.7억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가격이 높았다.


지난 5년 가격상승률은 세종시가 70.3%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서울이 51.7%, 경기 57.5%, 대전 53.8%로 중부 도시들이 50% 넘게 올랐다. 부산은 26.1%, 대구 19.7%, 광주 33.9%로 지방도시들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덜 올라, 수도권과 지방의 가격차이가 더 크게 벌어졌다.  




한국부동산원의 통계는 국세청에 신고된 실거래가격을 위주로 작성된다. 최근 집값 급락기에 거래된 몇 안되는 '급매물'의 가격이 주로 통계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런 보도를 보고 집을 사려고 나선 수요자들은 막상 가격이 급락한 물건을 찾기 힘들다는 말을 하기도한다.


실거래가 위주의 한국부동산원과 달리 주택플랫폼에 올라온 매도호가를 위주로 통계를 작성하는 부동산R114의 수치가 큰 차이를 보인다.


실거래가는 지난해 7월 빅스텝 이후 급속히 하락했다. 고금리를 견디지 못한 '급매물' 또는 '급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졌기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매매호가는 실거래가만큼 하락폭이 크지 않았다. 매도자들이 가격을 내리지 않고 버티고 있기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두 가격의 차이는 지난해 12월에 실거래가 주간하락률이 -0.74%였던 반면 매매호가 하락률은 -0.09%로 0.65%P나 벌어졌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이후 금리상승이 멈추면서 실거래가 하락폭이 급속히 줄어들면서 4월 둘째주에는, 실거래가가 -0.11%, 매매호가가 -0.03%로 조사돼 두 가격의 변동률 차이는 0.08%P로 좁혀졌다.


시장에서는 매도자들의 기대가격과 매수자들의 기대가격이 가까워 지면서 거래량도 증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월 500건 수준이었지만 올해 3월에는 2,000건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R114는 "한국은행이 2회 연속 금리를 동결하면서 시중은행 금리가 안정세로 돌아서고 수요층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정부의 규제 완화 기조가 유효하고 규제지역이 대거 풀린 이후 세금과 대출 규제도 상당 수준 풀린 만큼 거래량 증대에 따른 급매물 소진과 낙폭 축소 움직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또, "공시가격 조정에 따라 보유세 부담이 줄어든 주택 보유자들은 호가를 올리는 분위기도 확인된다"면서, "하지만, 경기위축, 미국 금융시장 불안에 대한 우려로 매수자와 매도자가 원하는 가격의 간극이 좁혀지는 데 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격 상승 분위기는 감지되지만 상승으로의 전환은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스타벅스, 수능 D-20 수험생 응원 별별 기프트 상품 ‘제안’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올해 수능이(11월14일) 약 20일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스타벅스(대표 손정현)가 수험생들을 위한 응원의 메시지 전달 차원에서 다양한 수능 기프트 상품을 제안했다. 수험생들의 선전을 기원하는 의미로 행운의 네잎클로버를 활용한 푸드와 실용성을 높인 MD 등 별별 기프트 상품을 전국 스타벅스 매장과 온라인 채널을 통해 선보인 것. 이들 상품의 주요 면면을 살펴보면 지난 14일 선보인 ‘클로버 쿠키 카드’, ‘클로버 베어리 쿠키 카드’, ‘클로버 샌드 쿠키’는 메시지를 적을 수 있는 이색적인 카드 패키지가 눈에 띈다. 행운을 뜻하는 네잎클로버 모양 쿠키와 네잎클로버를 들고 있는 베어리스타 쿠키가 들어있다. 특히 ‘클로버 샌드 쿠키’는 버터 카라멜과 다크 카라멜 두 가지 맛의 네잎클로버 샌드 쿠키 16개를 행운의 박스에 담았다. 이밖에 실용성을 높인 보온 도시락 2종과 각인 보온병 3종, 키체인 등 수능 MD도 온라인 채널 단독으로 선보였다. 지난 14일 SSG닷컴의 라이브 쇼핑을 통해 최초 공개한 후, 16일부터 스타벅스 앱 온라인 스토어와 카카오 선물하기 등 온라인 채널에서도 판매한다. 또 ‘럭키 써모스 그린 보온 도시락’은 화이트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