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완성차 상반기 판매 4.9%↓‥쌍용차만 웃었다

내수 GM 16.2%↓ · 수출 르노삼성 42%↓



[산업경제뉴스 김소산 기자]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로 대표되는 완성차 5사의 올해 상반기 자동차 총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줄어든 387만대로 마감했다. 


부문별로는 내수에서 전년대비 0.3% 줄어든 75만5천대를, 해외부문(수출포함)은 6.0%가 줄어 311만대 를 팔았다. 


업체별로는 쌍용차가 연간기준 총 판매량에서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다가 올해 상반기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 상승, ‘나 홀로’ 반등을 즐기며 모처럼 웃었다. 


지난해 연간 판매량에서 전년대비 –17.8%로 후진했던 르노삼성이 올해 상반기에도 –31.9%의 낙폭을 더 확대시키며, 가장 큰 폭의 감소율로 마감했다. 


이어서 지엠도 지난해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또 다시 -6.2%로 부진을 이어갔고, 현대·기아차가 각각 –5.1%, -2.5% 순으로 마이너스 성장세를 나타냈다.


업체별 특징은 현대·기아차가 지난해 연간 판매량에서 직 전년 보다 1.8%, 2.4% 각각 증가했으나 올 상반기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고, 한국지엠은 지난 3년간 연속 하향세에서 올 상반기에도 부진을 이어가며 향후 전망을 어둡게 했다.


르노삼성은 2017년 총 판매량 27.7만대를 기점으로 지난해에 부진에 이어 올해 상반기 또다시 –31.9%로 낙폭을 키웠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노조 측의 지난 1년간의 파업에 따른 충격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영향으로 분석하고 있다. 


내수에서 특징은 쌍용차가  2016년 15.5만대에서 2017년 14.4만대, 지난해 143천대로 내리막길을 걸었으나,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해 상반기 비교에서는 5.6만대를 팔아 8.6% 성장세로 돌아섰고, 현대차도 같은 기간 8.4% 늘어 내수확대에 힘을 보탰다.


이 두 회사의 내수 회복에 대해 업계에서는 한국지엠이 지난해 초부터 불거진 군산공장 폐쇄선언과 철수설에 휘말리며 주저앉은 ‘꼴찌’의 반사이익 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수출에서는 내수부진을 겪은 르노삼성이 –42%를 나타내며 부진을 확대했고, 이어서 쌍용차 –8.2%, 현대차 –7.6%, 지엠 –4.1, 기아차 –0.8% 순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하반기 전략에서 현대차는 내수에서 2달 연속으로 베스트셀링 카에 꼽힌 신형 쏘나타 터보와 하이브리드 모델을 전략화하고, 해외전략에서는 미국 시장 출시에 돌입한 팰리세이드를 내세워 각 시장별 상황과 고객니즈에 맞는 신차를 적재적소 투입해 실적회복을 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기아차는 신흥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경쟁력 있는 신차를 지속적으로 출시해 판매실적을 회복하는데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르노삼성은 유류비 장점을 내세운 THE NEW QM6 LPe 모델이 출시 12일 만에 1408대 판매되는 인기몰이에 힘입어 국내 유일 LPG SUV 신호탄 울렸다며 향후 판매급등에 기대감을 걸고 있다.


쌍용차는 내수에서 연초부터 렉스턴 스포츠 칸, 신형 코란도, 1.5 터보 가솔린 엔진을 탑재한 베리 뉴 티볼리로 이어진 3종 신차 출시가 성장을 이끌었으나 수출은 라인업 개편에 따라 감소했다 며, 하반기에는 베리 뉴 티볼리 등 신차에 대한 다각적인 마케팅 활동과 본격적인 해외 론칭을 통해 글로벌 판매 물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SBA, 서울에너지공사와 맞손...에너지·환경 분야 실증 지원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서울시의 미래 혁신성장 동력을 만드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대표이사 김현우, 이하 ‘SBA’)과 서울에너지공사(사장 황보연, 이하 ‘공사’)가 에너지·환경 분야에서 미래 혁신을 이끌 민간 기술 지원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지난 10일 서울창업허브 엠플러스에서 'ESG 개방형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협력에 나선 것인데, 이번 협약은 공사가 보유한 에너지 인프라를 민간에 개방형 테스트베드로 제공하고, SBA가 기술 공모, 사업화 연계 등 기업지원에 협력하는 공공-민간 협력형 실증 모델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SBA는 기술 공모 및 사업화 연계를 주도하고, 공사는 전기차·수소차 충전소, 열수송관,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에너지 인프라를 개방해 테스트베드로 제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기술은 갖췄으나 실증 공간이 부족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많은 혁신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성장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 대상은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 향상, 설비 국산화 등 ESG 가치 실현과 직결되는 기술들이며, 우수 기술에 대해서는 판로 개척 및 사업화 등의 연계지원도 이뤄진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