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아차, 2019년 278만대 판매 국내 2.2%↓ 해외 1.3%↓

스포티지 47만605대로 최다 판매, 이어 K3와 리오 순
올해 296만대 판매 목표
12월 국내 4만9130대, 해외 17만6316대 등 22만5446대 판매



[산업경제뉴스 박진경 기자]  기아차는 2019년 한 해 동안 도매기준으로 국내 52만205대, 해외 225만488대 등 전년 대비 1.5% 감소한 277만693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국내 판매는 2.2% 감소, 해외 판매는 1.3% 감소한 수치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7만605대로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K3(포르테)가 29만1592대, 리오(프라이드)가 28만5260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차는 △권역별 판매 손익 최적화 △시장별 판매 전략 정교화 △주력 신차의 성공적 론칭 등 내실 있는 판매전략으로 수익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아차는 올해 국내 52만대, 해외 244만대 등 총 296만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국내판매

기아차는 지난해 국내에서 2018년 대비 2.2% 감소한 52만205대를 판매했다.

승용 모델 중에서는 K 시리즈의 선전이 눈에 띈다. K 시리즈는 K3(4만4387대), K5(3만9668대), K7(5만5839대), K9(1만878대) 등 총 15만772대가 팔리며 판매량이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K5의 경우 지난달 출시한 3세대 모델의 선풍적인 인기에 힘입어 향후 K 시리즈 및 승용 판매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RV 모델은 카니발이 6만3706대 팔리며 기아차 연간 누적 판매 1위를 기록했으며 쏘렌토 5만2325대, 셀토스 3만2001대 등 총 22만5627대가 판매됐다.

지난해 7월 출시한 셀토스는 기아차 월평균 판매 1위(5333.5대)를 기록하며 향후 RV 모델 판매량 증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5만9017대 팔리는 등 버스와 트럭을 합쳐 총 6만1967대가 판매됐다.

◇해외판매

기아차의 2019년 해외판매는 전년 대비 1.3% 감소한 225만488대를 기록했다.

기아차의 판매실적이 감소세로 전환되긴 했지만 권역별 책임경영 체제 강화, 공격적 신차 출시, 신흥 시장 본격 공략 등으로 중국을 제외한 북미, 유럽, 인도, 중동, 호주 등 주요 시장 및 신흥 시장에서는 판매량이 증가했다.

실제로 중국을 제외한 기아차의 2019년 해외판매는 전년 대비 4.3% 증가한 199만2488대를, 국내 시장을 합친 2019년 총 판매는 전년 대비 2.9% 증가한 251만2693대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차종별로는 스포티지가 44만2334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로 이름을 올렸고 리오(프라이드)가 28만5260대, K3(포르테)가 24만7205대로 뒤를 이었다.

니로(HEV, PHEV, EV)는 전년 대비 9.2% 증가한 9만9647대가 팔리며 기아차 친환경 차량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있으며 이 추세라면 내년에는 1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12월 판매

한편 기아차는 지난해 12월 국내에서 4만9130대, 해외에서 17만6316대 등 총 22만5446대를 판매했다.

국내시장에서는 K5가 3세대 모델의 신차 효과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9.8%, 전월 대비 119.5% 증가한 6252대로 2015년 12월 이후 48개월 만에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기아차 월간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해외에서는 스포티지가 3만5204개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글로벌 전략 모델 ‘셀토스(1만5591대)’, 북미 전략 모델 ‘텔루라이드(5717대)’, 유럽 전략 모델이 ‘씨드 CUV(4759대)’ 등 각 지역 특화 모델의 판매량이 우수해 해외 판매실적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