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車산업 트렌드]②한국 자동차 생산량, 세계 7위로 밀려나

대립적 노사관계· 저효율 생산구조, 쟁력 추락요인


[산업경제뉴스 김소산 기자] 지난해 한국 자동차 생산량이 대립적 노사관계 ·  고비용 생산구조 등에 기인해 세계 7위로 밀려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지난 10일, 작년 세계 10대 자동차 생산국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車생산량은 10대 생산국 중 유일하게 3년 연속 감소, 멕시코에 이어 세계 7위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협회 발표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차 생산량은 전년대비 2.1% 감소한 402.9만 대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세계 차 생산량에서 한국의 생산 비중도 0.1%p 감소한 4.1%로 조사됐다.


반면, 같은 기간 멕시코 자동차 생산량은 407만 대 → 411만 대로 1.0% 증가세를 보였고, 인도 또한  임금수준 대비 높은 생산성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한국의 차 생산량 순위는 2016년 인도에 5위 자리를 내준지 2년 만에 또다시 한 단계 하락, 세계 7위로 밀려났다.


중국은 지난해  전년비 4.2%  감소한 2781만 대를 생산, 28년 만에 기록한 마이너스 성장에도 불구, 10년 연속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생산량 2위는 미국이, 이어서 일본, 독일, 인도, 멕시코, 한국, 브라질, 스페인, 프랑스 등의 순으로 뒤를 따랐다.

 

협회는 생산량 감소요인으로, 대립적 노사관계, 경직된 노동시장 구조 등에 따른 고비용·저효율 생산구조 고착화를 꼽았으며, 지난해 2월 한국지엠의 군산공장 폐쇄로 인한 생산 중단, 내수와 수출의 동반 부진 등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협회 정만기 회장은 “우리나라 차산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정책이 절실하다”며 “특히 글로벌 스탠다드 차원에서 법·제도 개선을 통한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과 함께 연비 및 배출가스 등의 환경규제, 안전과 소비자 관련 규제도 산업경쟁력을 고려하여 혁신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