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현대·기아차, 오랜 판매감소세 반등..현대 6.7%↑ 기아 7.0%↑

'15년 이후 감소세...1월 멈추고, 2월 증가세로 전환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2015년부터 계속된 판매감소세와 지난해의 극심한 부진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며, 올해 반등의 불씨를 살리는 모습이다. 


양사가 시장에 발표한 올해 2월 판매실적을 보면 현대차가 국내판매와 해외판매 모두 지난해 2월 보다 증가한 실적을 보이며 전체 판매 30만248대로 전년대비 6.7% 증가했고, 기아차도 21만177대로 7.0% 증가했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세계적인 자동차 수요감소로 해외 시장에서 특히 어려움을 겪었는데, 지난 2월에는 모처럼 해외판매도 미미하나마 증가세로 전환하면서 전체 실적 증가세를 이끌었다.


현대차의 2월 해외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고 기아차는 2.9% 증가했다. 증가율은 미미하지만 두 회사는 해외판매가 증가세로 전환했다는 것에 의미를 두는 분위기다.


지난 1월에도 현대차는 국내판매에서 전년동기보다 25%나 증가했지만 규모가 큰 해외에서 2.5% 감소하면서 전체실적 증가율이 1.6%에 그쳤었다. 기아차도 국내는 12.0% 증가했지만 해외에서 0.6% 증가에 그쳐 전체 증가실적이 2.5%에 그친 바 있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지난 5년 동안 계속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는데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여파로 판매가 더욱 감소했다.


2015년 496만대를 판매한 현대차는 지난해 374만대 판매에 그쳤으며, 기아차는 2015년 305만대에서 지난해 261만대를 판매했다.


이렇게 오랫동안 판매감소세에서 벗어나지 못한데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여파로 특히 부진이 극심했던 양사는, 올해로 들어 오면서 1월에는 감소세가 멈추고 2월에는 국내외 판매가 모두 증가세로 돌아 서면서 코로나의 영향에서 벗어나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전년보다는 판매량이 늘었지만 올해 1월 실적과 비교하면 2월 판매량이 감소해 여전히 아쉬움이 남는다. 올해 1월 현대차는 31만9959대를 판매했고, 기아차는 22만6298대를 판매했다.




현대차는 2021년 2월 국내 5만2102대, 해외 24만8146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총 30만248대를 판매했다. 이는 2020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32.6% 증가, 해외 판매는 2.5% 증가한 수치다.


판매량이 증가한 주요 원인은 2020년 2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공장 생산 차질 및 판매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 때문으로 올해는 지난해의 생산차질 등을 반드시 해소해서 판매 정상화를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판매


2월 현대차의 세단 판매량은 그랜저가 8563대 팔리며 국내 판매를 이끌었으며 이어 아반떼 5124대, 쏘나타 4186대 등 총 1만7915대가 팔렸다.


RV는 투싼 5869대, 팰리세이드 4045대, 싼타페 2781대 등 총 1만5628대가 팔렸다.


상용차는 그랜드 스타렉스와 포터를 합한 소형 상용차가 8994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을 합한 대형 상용차는 2244대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2714대, GV70 2686대, GV80 1190대 등 총 7321대가 팔렸다.


◇해외판매


2월 해외 시장에서는 2020년 2월보다 2.5% 증가한 24만8146대가 판매됐다. 그동안 국내 판매 증가에도 해외판매가 부진해 전체실적의 발목을 잡았었는데 모처럼 증가한 해외판매에 고무되는 분위기다.


현대차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권역별로 대응책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 노력을 이어가겠다"면서, "아이오닉 5, 제네시스 브랜드의 성공적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기아차는 2021년 2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3만7583대, 해외 17만2594대 등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한 21만177대를 판매했다.


이는 2020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31.0% 증가, 해외는 2.9% 증가한 수치다.


판매량이 증가한 주요 원인은 카니발, K5 등 경쟁력 있는 신차들의 판매 호조와 함께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 영향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2만6790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만6619대, 리오(프라이드)가 1만8417대로 뒤를 이었다.


◇국내 판매


기아차는 2021년 2월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31.0% 증가한 3만7583대를 판매했다.


2월 기아차가 가장 많이 판매한 차량은 카니발(6153대)로 6개월 연속 기아 월간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승용 모델은 K5 5547대, 모닝 2691대, 레이 2266대 등 총 1만4223대가 판매됐다.


카니발을 포함한 RV 모델은 쏘렌토 4945대, 셀토스 3585대 등 총 1만8297대가 팔렸다.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4918대 팔리는 등 버스와 트럭을 합쳐 총 5063대가 판매됐다.


◇해외 판매


기아차의 2021년 2월 해외 판매 실적은 전년 동월 대비 2.9% 증가한 17만2594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해외 실적을 차종별로 살펴보면, 스포티지가 2만5424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고 셀토스가 2만3034대, 리오(프라이드)가 1만8417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차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지만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 적용된 차세대 전기차와 K8(K7 후속 모델) 및 5세대 스포티지 등 경쟁력 있는 신형 볼륨 차량을 앞세워 신성장동력으로의 대전환을 이룰 것"이라고 앞으로의 전략을 설명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