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르노삼성, 9월 수출 58.2%↓‥"연식변경 일시적"

9월 전년 比 총 44.3%↓ ‥ 누적 16.1%↓
SM6 누적 판매, 52.3%(2만1156대 ↓ )폭락
4월 이후, 5개월 연속 두자리 수 판매 감소


[산업경제뉴스 김소산 기자]  르노삼성자동차의 9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달보다 58.2%(1만951대↓)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총판매량은 내수 6713대를 포함 1만4852대에 그치며 44.3% 감소세를 나타냈다. 


르노삼성차는 지난 9월 추석연휴 영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내수는 전년 동월보다 8.8% 감소한 6713대, 수출은 7869대로 9월 총판매는 전년동기 대비 44.3%가 줄어든 14,582대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달 내수는 QM6가 주도했다.  이 모델은 전년 동월대비 2.4%가 증가한 총 2526대가 팔려나갔다.  QM6 가솔린 모델 GDe는 지난해 9월 출시 이후 지난달까지 총 2만1564대가 판매됐다.  이로써 QM6 올해 누적판매랼은 총 2만976대로 전년 누계보다 6.9%가 증가했다.

  

르노 클리오는 지난 달까지 누적으로 2371대가 출고되며 수입 소형차시장을 새롭게 열고 있다. 국산 소형차에서 누릴 수 없는 고급스러운 스타일링과 첨단사양에 대한 국내 고객들의 니즈를 국산차와 동일한 AS 편의성과 실용성을 더해 충족시킴으로써 클리오는 수입 소형차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그럼에도 실적감소를 주도한 모델은 SM6였다.  이 모델은 내수에서 지난달 1727대가 팔려 전년 동월 보다 23.8%가 감소했다. SM6는 올해 들어 국내외 누적판매에서 52.3%(2만1156대 ↓)가 줄어들며  총 판매실적을  끌어내렸다. 9월까지 르노의 누적총판매량은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해 16.1% 줄었다.


이러한 르노의 9월 판매량 감소실적은,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했을 때  4월 이후  5개월 연속 두자리 수 판매 감소를 이어가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대해 르노 관계자는 " 닛산 로그와 QM6(수출명 꼴레오스)의 수출부진은 수출차량 연식변경 작업에 따른 생산량 조정에 따른 영향" 이라며  "내수부진은 르노의 경우, 모델수 한정으로 신차 발생년도 판매량의 변동성 기복은 있으나 10월에는 1만대이상 넘어 선적되며 정상화 될 것"이라고 희망을 보였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