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車산업 트렌드]③한국GM, 내수점유율 3.7%로 '털썩‘‥네달 연속 ’꼴찌'

지난해 10월부터 ‘최하위’‥내수 5천대로 추락
1월 완성차, 전년比 4.5%↑‥지엠은 '역주행'


[산업경제뉴스 김소산 기자] 한국GM의 내수시장(수입차 포함) 판매량·점유율이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 연속 최하위를 이어가고 있는 나타나 지엠의 향후 대응에 시장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한국GM의 지난달 국내 판매량은 5053대에 그치며 전년 동월 대비 –35.6%를 기록, 5社 중에서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엠의 이 같은 판매량은 직 전월(12월 1만428대)과 비교할 때, 한 달 만에  절반이하(52%↓)로 주저앉은 수치다.


이로써, 지엠은, 지난해 10월 국내시장에서 8273대를 팔아 꼴찌로 내려앉은 이후, 지난달까지 계속된 폭락세로 판매량 최하위를 이어갔다.


이러한 지엠의 판매부진 연속은, 지난달 내수시장 점유율(수입차 포함)마저도 3.7%까지 끌어내려, 꼴찌라는 불명예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했다.


■  월평균 판매량 (17년) 1만1천대 → (18년) 7천8백대 지난달 5천대로 '추락'


지엠은 2017년(2월) 사드사태에도 불구, 월평균 판매량이 1.1만대 이상으로 점유율 7.4%를 차지, 현대·기아차에 이어 내수시장 3위를 지켜왔다.


하지만 지엠은 지난해(2월) 군산공장 폐쇄선언을 기점으로 내수시장에서 3위를 내주고 4위. 5위를 반복하다가 지난해 10월부터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 여파로, 지엠의 지난 한해 월평균 판매량은 7776대에 그쳤고, 점유율도 5.0%로 내려앉았다.


결국, 올 1월 판매량(5053대)은 2017년 월평균판매량에 비해 반 토막이 났고, 점유율도 3.7%까지  폭락하는 부진을 이어갔다.


향후 전망과 관련, 시저 톨레도 한국지엠 영업 및 서비스부문 부사장은 “쉐보레는 연초부터  가격을 새롭게 포지셔닝 하는 등 고객 최우선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면서 “이달에도 말리부, 다마스, 라보 등에 대한 파격적 할인 혜택과 새 출발 고객지원, 노후차 교체지원 등의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 내수 판매증진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  완성차 5社 1월 내수시장 4.5% 성장 ‥ 지엠은 '역주행'



한편,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로 대표되는 완성차 5사의 지난달 내수시장은 4.5% 증가세를 기록했고, 총 판매량 지난해 같은 달 보다 9.5% 증가했다.


지난달 완성차 5社의 국내외 총판매량은 33.1만대로 전년 동월 보다 9.5% 성장, 웃으며 2월을 맞았다.


업체별로는 기아차가 전년 동월 대비 19.3% 늘어 가장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고, 이어서 현대차가 15.9%, 쌍용차 7.7% 순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르노삼성과 한국지엠은 각각 –37.3%, -8.5% 기록하며 우울한 1월로 마감했다.


부문별로는 내수가 4.5%, 해외(수출포함) 12.6% 증가했다.



내수는 같은 기간 현대차가 17.5%, 쌍용차 14.5% 증가세를 나타냈다. 반면,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은 각각 35.6%, 19.2%의 마이너스 성장을 했고, 이어 기아차가 –2.8%로 뒤를 따랐다.


해외부분은 기아차가 8.7만대(32.5%↑)를 팔아 가장 큰 폭으로 증가, 그간의 부진에서 벗어났고, 뒤이어 현대차가 8.2만대로 14.8% 증가세를 기록, 모처럼 두 회사가 나란히 웃었다.


반면, 같은 기간 르노삼성은 8519대 판매에 그치며 –44.8%를, 쌍용차 –13%, 한국지엠 –2.3% 비율 순으로 줄어들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SBA, 서울에너지공사와 맞손...에너지·환경 분야 실증 지원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서울시의 미래 혁신성장 동력을 만드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대표이사 김현우, 이하 ‘SBA’)과 서울에너지공사(사장 황보연, 이하 ‘공사’)가 에너지·환경 분야에서 미래 혁신을 이끌 민간 기술 지원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지난 10일 서울창업허브 엠플러스에서 'ESG 개방형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협력에 나선 것인데, 이번 협약은 공사가 보유한 에너지 인프라를 민간에 개방형 테스트베드로 제공하고, SBA가 기술 공모, 사업화 연계 등 기업지원에 협력하는 공공-민간 협력형 실증 모델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SBA는 기술 공모 및 사업화 연계를 주도하고, 공사는 전기차·수소차 충전소, 열수송관,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에너지 인프라를 개방해 테스트베드로 제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기술은 갖췄으나 실증 공간이 부족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많은 혁신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성장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 대상은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 향상, 설비 국산화 등 ESG 가치 실현과 직결되는 기술들이며, 우수 기술에 대해서는 판로 개척 및 사업화 등의 연계지원도 이뤄진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