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3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장사, 10년간 매출 13% 증가할 때 인건비 43% 상승

임금상승률과 매출증가율 격차, 韓 8.5%pㆍG5 1.3%p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상장사 직원들의 인건비는 지난 10년 동안 43.3% 증가한 반면, 1인당 매출액은 12.5% 증가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의 '2011~2021년 상장사 인건비 및 실적 추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상장사 직원 1인당 평균 연간총급여는 2011년 5,593만원에서 2021년으로 8,016만원으로 10년간 4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직원 1인당 매출액은 2011년 9.6억원에서 2021년 10.8억원으로 12.5% 증가했다. 

조사대상은 2011∼2021년 매출액과 급여자료가 모두 있는 비금융업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1,366개사를 기준으로 했으며 ‘연간총급여’에는 기본급여, 상여금, 성과급, 복리후생비 등이 포함됐다.

2011~2021년 상장사 직원 1인당 연간총급여 추이(만원)


지난 10년 동안 상장사 직원 1인당 연간총급여 증가율은 2012년, 2017년, 2021년 3개년을 제외하고 전부 1인당 매출액 증가율을 상회했다. 특히, 2013~2016년과 2019~2020년에는 1인당 매출액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는데도 불구하고, 1인당 연간총급여는 증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반도체 호황기였던 2017년과 코로나19 기저효과 및 IT‧게임‧통신업 등 비대면 업종의 호실적이 두드러진 2021년을 제외하고는 인건비 증가율이 매출액 증가율을 꾸준히 앞질러왔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임금의 하방경직성이 높은 탓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는 불황기에도 노사협상 등에 의해 임금은 오히려 오르는 경우가 많아 기업들의 경영부담이 이중으로 가중된다”라고 덧붙였다.

2012~2021년 상장사 직원 1인당 매출액 및 연간총급여 증가율(전년 대비)



■ 임금상승률과 매출증가율 격차, 韓 8.5%pㆍG5 1.3%p

지난 10년간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업종은 ▶여행사 및 여행보조 서비스업(10.1%p)이었다. 이어서 ▶영화,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9.6%p), ▶고무제품 제조업(7.0%p),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서비스업(6.7%p), ▶인쇄물 출판업(6.5%p), ▶전기 및 통신 공사업(6.1%p), ▶음‧식료품 및 담배 도매업(5.8%p),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4.0%p), ▶선박 건조업(3.8%p), ▶화학섬유 제조업(3.7%p) 순이었다.

한국의 노동비용 상승속도는 노동생산성에 비해 가파르며, 이러한 인건비 부담 증가는 국제무대에서도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09~2019년)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은 37.6% 증가한 반면, 1인당 노동생산성(실질 총부가가치/근로자 수)은 29.1% 늘어났다.

같은 기간 G5의 1인당 노동비용 증가율과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각각 23.6%, 22.3%였다. 한국의 제조업근로자 노동비용 증가율 37.6%는 G5의 23.6%보다 1.6배 높았다. 또, 한국의 노동비용과 노동생산성 증가율간의 격차는 8.5%p로, G5의 1.3%p보다 컸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생산성 향상에 비해 과도한 임금 인상은 기업경쟁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제품 가격 인상을 부추겨 물가 상승을 초래하는 악순환을 야기한다”고 지적하며,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물가 상승 및 금리 급등 등 대내외적 경영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기업들이 생존하고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급격한 임금인상을 자제하고 노사가 함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강구해 나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