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최근 주택시장에서는, 그동안 주택가격 급락의 원인이었던 '급매물'이 거의 사라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거래가격의 하락률이 매매호가보다 작고, 매수 기대가격과 매도 기대가격이 차이를 좁히면서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세청에 신고된 실거래가격을 중심으로 통계를 작성하고 있는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의 주간변동률은 -0.01%로 조사됐다. 반면, 주택매매플렛품에 올라온 매도호가를 중심으로 주택가격을 조사하는 부동산R114의 서울 아파트값 주간변동률은 -0.02%로 조사됐다.
두 수치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지만, 시장이 주목하는 것은 그동안의 추이다. 가격하락이 극심했던 지난해 말에는 한국부동산원의 변동률은 -0.74%, 부동산R114의 변동률은 -0.09%로 두 조사기관의 차이가 0.65%P나 벌어졌었다.
금리가 급하게 오르던 지난해 말에는, 고금리를 견디지 못한 저가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진 반면, 주택 소유자들은 여전히 매도호가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따라서 실제 거래가 이뤄진 사래도 드물어 거래량도 역대 최소 수준으로 떨어졌고, 시장에서는 '거래절벽'이라는 말도 나왔다.
최근 하락폭이 줄어들고 있는 것에 대해 한국부동산원은 "노원구의 경우, 재건축 단지 위주로, 용산구는 대단지 위주로, 서초, 송파, 강남구는 주요단지가 가격 회복세를 보이며 상승거래 발생 및 매물 가격 상향 조정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라고 말한다. 주요 단지가 상승 전환되면서 전체 하락률도 빠르게 축소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서울 외 수도권에 대해서는 "용인 처인구는 반도체 클러스터 등 개발호재 영향이 지속되고 있으며, 용인 수지는 역세권 위주로 매수문의가 증가했고, 화성시는 청계, 석우동 대단지 위주로 급매물 소진되며 상승했다"고 가격 상승 추이를 설명했다.
지난주 가격이 상승한 지역은 이 외에도 강동, 동작, 성남수정, 성남중원, 광명, 오산, 평택, 인천계양, 인천연수 등 수도권 총 72개 지역 중 27개 지역이다. 상승 지역 비중이 38%로 세 곳 중 한 곳 이상이 그동안의 하락세를 벗어나 상승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서울에서는 강북구 -0.14%, 강서구 -0.14%, 관악 -0.08% 등, 경기도에서는 일산서구 -0.33%, 동두천시 -0.23%, 양주시 -0.38% 등 중저가 지역의 하락세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주택시장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가격이 상승 분위기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는 서울,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작성하는 '전국 아파트값 주간변동률 지도'를 보면 지난해 말에는 강원을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이 하락세를 나타내는 푸른색으로 그려졌고, 서울, 수도권과 세종, 대전, 대구, 부산 등 대도시 지역은 급락세인 짙푸른색으로 표시됐다.
하지만 지난주 지도는 전국이 보합을 나타내는 연한 노란색으로 덮혔다. 세종시는 +0.22%, 인천 +0.03% 등 그동안 하락세를 주도했던 도시가 상승세로 전환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최근의 상승전환 추이에 대해 부동산R114는 "서울 강남·서초·송파의 재건축 단지가 상승 전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면서 "강남권역은 가격 회복력이 빠르고 선호가 높은 일부 단지 위주로 상승거래가 이뤄지면서 10개월만에 매매가가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또, "코픽스가 3.44%로 한달 전보다 0.12%P 떨어졌다. 작년 11월 4.34%로 고점을 찍은 후 올해 들어 하향 안정화 추세를 보이면서 차주 이자부담이 줄고 있다"면서 "전세자금대출 하단은 3.87%까지 내려오면서 월세로 옮겼던 임대차 수요가 전세시장으로 다시 회귀하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최근 금리 안정에 따른 주택시장의 변화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