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이어지는 금리인상과 윤석열 정부의 주택규제완화 속도가 더뎌지면서, 주택가격이 폭락하고 있다는 통계수치가 연일 나오고 있다. 시장에서는 깡통전세, 영끌족 등 문제로, 주택담보대출이 불안해지고 금융권마저 흔들리고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그도 그럴것이 지난해 이맘때만해도 주택가격 주간변동률이 +0.20%를 넘나들었는데, 단 1 년만에 -0.20%로 완전히 반대상황이 돼버렸기 때문이다. 그것도 지난 7월 이후 3개월 사이에 0.15%포인트 넘는 급락세를 보이면서 시장의 혼란과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러한 가격폭락 통계수치에도 불구하고, 실제 매물로 나온 아파트들의 가격은 통계수치만큼 하락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지난해의 10분의 1 수준으로 감소된 거래실종 상황에서 '급매물'도 아닌 '급급매물'만 가격을 크게 낮춰 거래되기 때문에 통계수치는 폭락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게 떨어진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아파트는 사실상 찾아보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 한국부동산원 가격 통계는 실거래 신고가격 기준
아파트값 추이의 기준이 되고 있는,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가격 주간변동률을 보면 작년 10월 첫째주 전국 아파트가격 주간상승률은 +0.28% 였다. 9월에는 0.30%를 넘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폭등세'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작년 10월 이후 정부가 금융규제를 강화하면서 상승률이 꺾이기 시작했고, 올해 들어와서는 6월까지 약보합세를 보였다. 그리고 지난 7월 13일 정부가 기준금리 빅스텝을 단행하자 가격상승률은 -0.10%아래로 하락속도가 급해지더니 올해 10월 3일 조사에서는 -0.20%로 하락폭이 크게 확대됐다. 3개월의 짧은 기간에 가격이 너무 급하게 하락했다는 평가다.
전국 주요 시도 아파트값 주간상승률 (10월 3일 기준, %)
한국부동산원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주 전국 주요 시도 어느 한 곳도 가격이 상승한 지역이 없다.
세종은 -0.39%, 인천은 -0.31%로 폭락세를 보이고 있고, 대전, 경기, 대구, 울산 등 대도시도 -0.20% 수준으로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새정부가 들어선 이후,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으로 하락세를 떠받치고 있던, 서울 강남과 경기도 1기 신도시들 마저 지난 8.16대책 이후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서울의 상승률 마저 -0.20%로 급박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그야말로 전국이 가격하락의 늪에 빠진 모습이다.
가격이 급락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최근 분양하는 아파트들은 미분양이 속출하고, 임대기간 만료에도 임대료를 내주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전세사기 고발 건 수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1년간 발생한 전세보증금 사고금액은 5,790억원이었는데, 올해는 8월까지만 5,368억원이다. 문제는 8월에만 1,089억원으로 최근들어 사고금액이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9월 집계가 나오면 지난해 1년 금액을 초과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 부동산R114 가격 통계는 주택매매플렛폼의 시세 기준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가격 변동률이 급락세의 수치를 보이는 가운데, 또 다른 주택가격 조사기관인 부동산R114의 변동률은 한국부동산원의 수치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가격을 주간단위로 조사해 발표하고 있는 부동산R114의 조사자료를 보면, 10월 7일 현재 서울의 아파트가격 주간변동률은 -0.06%이다.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10월 3일 기준 -0.20%와는 3배가 넘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9~10월 가격 상승시기에는, 한국부동산원의 상승률이 +0.21%, 부동산R114의 상승률이 +0.12%로 오히려 한국부동산원의 상승률이 더 컸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두 기관의 주택가격 조사자료가 다르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은 국세청에 신고된 실거래가격을 자료로 통계를 작성하고, 부동산R114는 주택매매플렛폼에 올라와 있는 가격을 자료로 통계를 작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제 거래된 가격을 시장의 가격으로 보는 견해가 많고 정부가 운영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한국부동산원의 수치가 공식적으로 많이 인용되고 있다.
하지만 주택시장이나 아파트를 분양하고 있는 건설사 등 주택현장에서는 다른 견해를 보이기도 한다.
즉, 거래가 활발해서 거래량이 많을 때는 실제 거래된 가격을 시장의 가격으로 볼 수 있지만, 최근 주택시장처럼 거래가 사실상 실종된 상황에서는 '급급매물'만 거래가 되기때문에 실제 거래된 가격으로 시장의 가격을 보는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의견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조사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을 보면 지난해 8월에는 4,061건이 거래됐는데, 올해 8월에는 295건이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의 10분의 1도 안되는 거래량으로 시장에서는 거래가 실종됐다고 말한다.
주택거래 현장에서는,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가격으로 아파트를 사려고 해도, 그 가격으로 나온 물건은 찾기 힘들다고 말한다. 실제 매물로 나와 있는 대부분 아파트의 가격은 아직까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급박한 하락세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설명이다.
강남에서 중개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는 중개사는 "아주 드믈게 거래되는 극히 일부 물건의 가격을 시장가격이라고 말하는 것은, 거래되지 않은 대부분 물건들의 가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금리인상 후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정부가 발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가격이 급락한 아파트는 시장에 와보면 사실상 찾기 힘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