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동향] 주택시장 "실거래가 폭락에도 매매호가는 여전히 버티고 있어"

  • 등록 2022.12.12 14:10:22
크게보기

서울 주간변동률, 실거래가 -0.59% vs 매매호가 -0.06%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두 차례의 기준금리 빅스텝 이후, 주택가격이 전례 없이 폭락한다는 통계수치가 연일 발표되고 있다. 하지만, 막상 시장에 나와있는 매물의 가격은 크게 하락하지 않고 여전히 지난해의 높은 수준에서 버티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와 언론에 발표되는 가격 폭락 기사를 보고, 집을 사거나 전세를 갈아타려고 중개소를 찾아 나선 수요자들은 지난해 고공행진을 하던 집값이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는 다시 발걸음을 돌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지난 주 서울 아파트가격의 주간변동률은 -0.59%로 전례없는 폭락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또 다른 주택가격 조사기관인 부동산R114의 서울 아파트가격 주간변동률은 -0.06%로 한국부동산원의 변동률과 무려 10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런 차이가 나는 이유는, 한국부동산원의 경우 실제 거래후 국세청에 신고한 가격을 중심으로 통계를 작성하는 반면, 부동산R114는 주택매매거래 플랫폼에 올라와 있는 매매호가를 중심으로 통계를 작성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즉, 거래가 실종되다시피한 현재 시장에서 아주 간혹 거래되는 물건은 '급매물'도 아닌 '급급매물'인 경우가 많은 반면, 집주인들은 여전히 가격을 별로 낮추지 않고 매물을 내놓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가격 변동률을 보면, 지난 7월 기준금리빅스텝 이전의 전국 주간변동률은 -0.03%로 미미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1차 빅스텝과 지난 10월 12일 또 한차례 빅스텝이 단행된 이후 하락속도가 빨라지면서 지난주에는 -0.59%를 기록하는 등 하락률이 20배 가까이 커졌다.


빅스텝 이전 -0.07% 였던 인천의 변동률은 지난주 -0.98%을 기록하며 하락속도가 급박해 졌고, 세종시는 아예 -1.02%를 기록하며 주간변동률이 -1.0%를 넘기는 모습까지 나타났다.


빅스텝 이전 미미하나마 상승세를 보였던 강원, 충북, 전북, 경남, 제주 등 지방권도 지난주에는 경남이 -0.51%, 전북이 -0.38%, 제주가 -0.39%로 이제는 전국의 모든 집값이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다.




실거래가 위주인 한국부동산원의 주택가격 통계가 유례없는 하락률을 보이는 가운데, 매매호가 위주인 부동산R114 하락률은 -0.02% ~ -0.20%의 수치를 보이고 있다.


지난주 부동산R114가 발표한 수도권의 변동률을 보면, 서울에서는 동작구가 -0.03%, 강남 -0.06%로 미미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도봉구가 -0.24%로 하락률이 컸다. 


신도시에서는 중동과 분당이 -0.02%, -0.03%의 하락률을 보였고, 파주운정신도시가 -0.23%로 하락률이 컸다. 경기도에서는 남양주가 -0.04%, 용인 -0.11%, 부천 -0.17%의 하락률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의 통계수치인 서울 -0.59%, 인천 -0.98%, 경기 -0.78%와는 10배가 넘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부기관인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택가격 하락세가 걷잡을 수 없이 빨라지자, 그동안 집값이 더떨어져야 한다던 정부도 결국 규제지역 해제, 주택대출 조건 완화, 다주택자 중과세와 과세 기준가격 완화 등 주택관련 규제들을 잇달아 풀고 있다. 


최근에는 재건축 활성화를 위해 안전진단 규제 합리화 방안도 발표했다. 이에따라 강남, 서초, 목동 등 그동안 안전진단에 막혀있던 재건축들의 사업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정부의 이러한 규제완화로는 고금리때문에 얼어붙은 지금의 분위기를 바꾸는데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부동산R114는 "재건축 안전진단 등 규제완화로 재건축 사업추진이 한층 빨라질 전망이지만, 높아진 대출금리 여파로 수요자의 매수심리가 크게 위축돼 있는 상황에서 금번 규제 완화가 노후 단지들의 가격 흐름에 즉각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 일각에서는, 가격 관리는 되지 못하는데 주택관련 규제와 다주택·고가주택 규제만 풀고 있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문성희 기자 moonsh@biznews.or.kr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산업경제뉴스| 등록정보:서울,아04803ㅣ등록일:2017.10.26ㅣ발행일:2017년 11월 5일ㅣ발행인:(주)산업경제뉴스ㅣ편집인:김종범 주소 : 03324 서울시 은평구 연서로27길 13-11, B동 302호ㅣ전화번호:02-6402-7603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