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재벌 경제력편중 더욱 심화…진입장벽↑

최근 10년 5백대기업 중 20대재벌 매출비중 변동 8%p↑(59.7%)
2천년 이후 신설법인 중, 5백대 기업 진입 업체, 재벌이 64% 차지


[산업경제뉴스 김소산 기자] 한국의 경제구조가 재벌대기업으로의 편중이 날로 심화되고 있어 재벌로의 신규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개혁연구소가 지난달 말 발표한 경제개혁리포트 ‘한국 5백대기업의 동태적변화 분석과 시사점(1998~2017)’ 에 따르면, 중장기 기업성장의 특성이 비 재벌기업 성장보다는 여전히 재벌주도의 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산업추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업체는 약 570만개(사업장 기준 395만개)로,  이 중, 도소매업과 금융업은 증가한 반면, 전문 과학기술서비스업은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요구됨을 시사했다.


분석내용을 보면, 지난해 5백대기업의 매출액은 국내총생산(GDP)의 118.06%를 차지, 이는 미국 5백대기업 GDP(약 62.7%)의 약 2배 수준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5백대기업 분포도는 제조업 약 41.4%, 도소매업 17.6%, 금융업 15.8%, 건설업 7.2%, 전기에너지업 4.4%, 정보통신업 4.0% 등으로 순이었다.


2000년 매출액 500위 기업 가운데 지난해 500위 밖으로 밀려난 기업은 약 47.0%(235개)였다.


2천년 이후 신설업체가 500대기업 진입은 175개 ‥ 이중 재벌관련이 112개 社(64.36%)


2000년 이후 신설법인이 5백대 기업 진입업체는 175개였으며, 업종별로는 제조업 75개(42.8%), 도소매업 39개(22.3%), 금융업 23개(13.1%) 순이었다.


이 중, 30대그룹 소속 계열사가 62개(35.63%), 자산 5조원 이상 대기업집단 소속사 28개, 금융그룹회사 15개, 한국전력 등 공기업 관련사 7개를 등 모두 112개사(64.36%)가 재벌·금융그룹·공기업 계열사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신설된 비 재벌 회사(38개) 가운데 국내 토종기업은 24개에 불과하고 매출액 순위도 중하위라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일반기업이 대기업(재벌 등) 진입은 그만큼 어려운 것으로 확인됐고 재벌계 회사는 분할 자회사 신설, 외국계와 합작사 설립 등의 방법으로 외형확대 및 다양한 업종 진출이 용이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20대 재벌 매출액 비중 2007년 51.94% → 2017년 59.70%  경제력 편중 심화 7.76%↑


500대기업 중 삼성ㆍ현대차ㆍSKㆍLGㆍ롯데로 대변되는 5대 재벌 계열사 추이는 2007년 79개(15.8%)에서 2017년 93개(18.6%)로 17.7%가, 이를 20대 재벌계열사로 확대해 보면 같은 기간 146개(29.2%)에서 182개(36.4%)로 증가했다.


또한, 5백대기업 총매출 가운데 5대 재벌 계열사 매출액 비중은 같은 기간 33.92%에서 39.32%로, 20대재벌 계열사는 51.94%에서 59.70%로 증가해 상위재벌로의 경제력집중 현상이 심화됐다.


이에 더해 보고서는 업종별 변화도 분석하면서, 도소매업  · 금융업 비중은 증가하고 전문 과학기술서비스업은  상대적 크게 하락한 결과를 발표해 향후, 이에 대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게다가 500대기업의 특징에서는, 정부는 여전히 재벌그룹이 국가경제를 주도하는 현재 체제의 한계를 인식하고, 현 재벌이 새로운 대기업의 출현을 억제하고 있지는 않은지 면밀한 분석도 필요하다 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SBA, 서울에너지공사와 맞손...에너지·환경 분야 실증 지원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서울시의 미래 혁신성장 동력을 만드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대표이사 김현우, 이하 ‘SBA’)과 서울에너지공사(사장 황보연, 이하 ‘공사’)가 에너지·환경 분야에서 미래 혁신을 이끌 민간 기술 지원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지난 10일 서울창업허브 엠플러스에서 'ESG 개방형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협력에 나선 것인데, 이번 협약은 공사가 보유한 에너지 인프라를 민간에 개방형 테스트베드로 제공하고, SBA가 기술 공모, 사업화 연계 등 기업지원에 협력하는 공공-민간 협력형 실증 모델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SBA는 기술 공모 및 사업화 연계를 주도하고, 공사는 전기차·수소차 충전소, 열수송관,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에너지 인프라를 개방해 테스트베드로 제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기술은 갖췄으나 실증 공간이 부족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많은 혁신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성장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 대상은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 향상, 설비 국산화 등 ESG 가치 실현과 직결되는 기술들이며, 우수 기술에 대해서는 판로 개척 및 사업화 등의 연계지원도 이뤄진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