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참 잘했어요” 서울의 건물, 탄소중립 성적표 공개

서울시, 건물 에너지등급 공개…민간 참여·우수 등급 모두 증가
교육·업무시설 중심 참여…강남 3구가 상위권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서울시가 2025년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제’에 참여한 공공 및 민간건물 5,987개 동의 에너지사용량 등급을 10월 15일 오전 9시부터 저탄소건물지원센터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 이는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제도의 두 번째 평가 결과로, 시민과 민간의 자발적 참여가 크게 늘어난 점이 주목된다.


올해는 서울시 내 1만 5천여 동의 대상 건물 중 6,322개 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지난해(4,281개 동)보다 약 1.5배 증가했다. 특히 민간건물의 참여는 지난해 1,510개 동에서 올해 2,991개 동으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났다. 이는 시민들이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번 평가에서 전체 건물의 53.4%가 산업통상자원부의 관리 목표 기준인 B등급 이상을 획득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2.1%p 상승한 수치다. 전체의 92.2%가 A~C등급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으며, D등급은 6.0%, E등급은 1.8%에 그쳤다. 서울시는 이러한 결과가 건물 관리자들의 지속적인 에너지 관리 노력의 성과라고 평가했다.

 

참여 건물의 용도를 살펴보면, 교육연구시설이 2,221개 동으로 가장 많았고, 업무시설이 1,436개 동, 근린생활시설이 784개 동으로 뒤를 이었다. 자치구별로는 송파구가 581개 동으로 가장 많은 참여를 보였으며, 서초구(527개 동)와 강남구(479개 동)가 그 뒤를 따랐다.


등급 공개에 동의한 건물은 전체의 83.3%(4,986개 동)로, 지난해보다 6.8%p 증가했다. 특히 서울시 및 자치구 소유 건물은 100% 공개에 동의했으며, 타 공공기관은 75.9%, 민간건물은 77.4%의 공개율을 보였다. 이는 에너지 사용의 투명성과 시민 인식 변화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서울시는 AE등급 건물에는 무료 전문가 컨설팅과 무이자 융자 상담을 제공해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유도할 예정이다. 참여 건물들은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 시스템’에서 등급표를 다운로드해 건물 출입구에 게시할 수 있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 온실가스의 약 70%가 건물에서 발생하는 만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건물 에너지 감축은 필수”라며 “자발적으로 참여한 6,322개 동은 민간과 지자체가 함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모범사례”라고 강조했다.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