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맞수열전]⑦’삼성SDSvsLGCNS’ 반기 장사 누가 잘했나?

2022년 상반기 매출, 삼성SDS 8조, LGCNS 2조 원대 고지 등극...사상 최대
연결영업익 삼성SDS 5435억(26.7%↑), LG CNS 1523억(37.7%↑)..역대 최고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국내 시스템통합(SI)업계 1, 2위를 달리고 있는 삼성SDS와 LG CNS의 올 상반기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외형과 손익 증가율  한 부문씩 서로 우위를 주고받으며 접전을 펼친 것으로 나타났다.

외형 증가율에선 업계 1위 삼성SDS가 또 영업이익 증가율에선 2위 LG CNS가 상대방보다 더 나은 성적표를 각각 작성한 것. 이로써 업계 맞수답게 명승부를 펼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렇다면 양사의 올 상반기 실적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어떠했을까?   

매출 증가율, ‘삼성SDS 39.2% vs LG CNS 26.7%’..삼성이 12.5%P 앞서 


각사 반기보고서에 의거해 해외법인 등 종속기업 실적을 포함한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증가율부터 살펴보면 먼저 삼성SDS는 8조7867억 원의 매출을 시현해 전년 동기 6조3122억 원 대비 약 2조4745억 원이 늘어 무려 39.2%나 급증했다.  

이처럼 외형이 고공성장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은 이 회사의 양대 사업부 중 물류BPO사업의 광폭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IT사업부 반기매출이 전년도 2조7603억 원에서 올 상반기 2조9634억 대비 2031억이 늘어 7.4% 성장한 반면에 물류BPO는 3조5519억 원에서 5조8233억 원으로 무려 2조2714억이 늘어 63.9%나 급증해 외형 성장세를 주도했다.

이 회사의 반기매출 증감액 2조4745억 원의 무려 91.8%나 차지한 것. 

반면에 IT관련용역매출(스마트 물류 포함) 사업을 영위 중인 LG CNS는 올 상반기 2조347억 원의 매출을 시현해 전년 동기 1조6057억 대비 4291억 원이 늘어 약 26.7% 성장해 삼성보다 약 12.5%P 뒤쳐졌다.  

비록 LG CNS가 외형 증가율 측면에서는 삼성SDS보다 뒤쳐졌지만 클라우드,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등 IT부문의 핵심 디지털전환(DX)사업 호조로 이 같은 성장세를 일궈내 내용면에서는 결코 삼성에 뒤진 것은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영업익 증가율, ‘LG CNS 37.7% vs 삼성SDS 23.0%’..LG가 14.7%P 앞서 ‘장군멍군’ 

외형과 달리 손익증가율에서는 LG CNS의 선전이 돋보였다. 

삼성SDS의 올 상반기 연결영업이익이 5435억으로 전년 동기 4418억 원 대비 23.0% 증가한 반면에 LG CNS는 전년도 1106억 원에서 올 상반기 1523억 원을 시현하며 37.7% 신장해, 삼성SDS를 증가율 기준으로 약 14.7% 포인트 앞서 우위의 성적표를 만들어 낸 것.

이는 매출원가율과 판매관리비율을 합친 총원가율에서 희비가 교차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즉, 삼성SDS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저수익성 사업인 물류BPO가 외형 성장을 주도함에 따라 총원가율이 지난해 상반기 93.0%에서 올 상반기 93.8%로 0.8%P가 상승한 반면, LG CNS는 전년도 93.1%에서 올 상반기 92.5%로 되레 약 0.6%P가 낮아져 수익성 향상을 이끌었다. 

삼성의 물류BPO 사업이 외형 증대에는 크게 기여했지만 낮은 수익성으로 인해 전사 손익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셈이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약 3개월 정도 남은 하반기 실적 향배와 더불어 올 한해 전체실적에서 양사의 승부수는 무엇이고 그 결과는 어떻게 표출될지에 모아지고 있다. 

삼성SDS 관계자는 “IT 분야는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사업 경쟁력 강화 ▲프라이빗 클라우드 고도화 ▲유통·서비스, 제조 업종 SaaS 적용 확산 등을 통해 클라우드 사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물류 분야에서는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 스퀘어를 지속해서 고도화하는 한편, 국내외 다양한 업종별 고객을 대상으로 디지털 포워딩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LG CNS도 올 상반기 사상 최대의 실적을 견인한 ‘클라우드,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등 핵심 디지털전환(DX)사업과 더불어 신사업인 '로봇 구독 서비스(RaaS)'로 수익 다각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복안이다.

국내 SI업계의 위상 제고에 혼신의 힘을 쏟고 있는 파트너이자 라이벌로서 선의의 경쟁을 펼치고 있는 양사의 이러한 전략들이 올 한해 어떠한 성적표로 귀결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SBA, 서울에너지공사와 맞손...에너지·환경 분야 실증 지원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서울시의 미래 혁신성장 동력을 만드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대표이사 김현우, 이하 ‘SBA’)과 서울에너지공사(사장 황보연, 이하 ‘공사’)가 에너지·환경 분야에서 미래 혁신을 이끌 민간 기술 지원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지난 10일 서울창업허브 엠플러스에서 'ESG 개방형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협력에 나선 것인데, 이번 협약은 공사가 보유한 에너지 인프라를 민간에 개방형 테스트베드로 제공하고, SBA가 기술 공모, 사업화 연계 등 기업지원에 협력하는 공공-민간 협력형 실증 모델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SBA는 기술 공모 및 사업화 연계를 주도하고, 공사는 전기차·수소차 충전소, 열수송관,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에너지 인프라를 개방해 테스트베드로 제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기술은 갖췄으나 실증 공간이 부족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많은 혁신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성장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 대상은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 향상, 설비 국산화 등 ESG 가치 실현과 직결되는 기술들이며, 우수 기술에 대해서는 판로 개척 및 사업화 등의 연계지원도 이뤄진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