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
  • 구름조금강릉 6.6℃
  • 맑음서울 4.3℃
  • 맑음대전 5.4℃
  • 맑음대구 6.4℃
  • 맑음울산 5.6℃
  • 구름많음광주 6.7℃
  • 맑음부산 8.5℃
  • 구름많음고창 4.9℃
  • 흐림제주 10.8℃
  • 맑음강화 3.9℃
  • 맑음보은 4.9℃
  • 맑음금산 5.3℃
  • 구름많음강진군 7.7℃
  • 맑음경주시 5.6℃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맞수열전]⑤라면맞수 ‘농심vs오뚜기’ 1Q 장사 승자는?

매출액 증가율, ‘오뚜기 4.0% vs 농심 –7.7%’..전사 매출액 우위도 탈환
영업익 감소율, ‘오뚜기 12.3% vs 농심 55.5%’..오뚜기가 외형·손익 완승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국내 라면시장 점유율 1, 2위를 달리는 농심과 오뚜기의 올 1분기 영업 성적표를 분석한 결과, 오뚜기가 매출과 손익 증가율 양 부문에서 완승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지난해 1분기 농심에게 빼앗겼던 매출액 우위도 되찾아 옴으로써 리턴 매치에서 깔끔하게 설욕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렇다면 양사의 올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어떠했기에 이 같은 평가가 나오는 걸까? 

전년 동기대비 매출증가율, ‘오뚜기 4.0% vs 농심 -7.7%’...오뚜기가 11.7%P 앞서


각사 1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등 종속법인의 실적을 포함한 연결재무제표 기준 농심의 1분기 매출은 634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6876.7억 대비 532.6억이 줄어 약 7.7% 감소했다. 

백산수 등 음료부문만 유일하게 117.1억 원 가량 증가했지만 라면류가 422.6억, 스낵 35.6억, 켈로그 츄파춥스 등 기타 상품군 124.2억이 줄어 전사 532.6억의 외형 축소를 막지 못했다.  

반면 오뚜기는 1분기에 6712.5억 매출을 시현, 전년 동기 6455.3억 대비 257.2억이 늘어 약 4.0% 성장함으로써 외형 신장률에서 농심에게 11.7%포인트 가량 우세를 보였다.

오뚜기 역시 라면류 매출은 92.1억 원 가량 줄었지만, 유지류에서 271.8억과 양념소스류가 93.5억이 늘어남으로써 전사 외형을 전년 동기 대비 257.2억 증가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제품 아이템간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의 힘(?)이 어떤 효과를 내는지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다.

이에 더해 오뚜기는 지난해 1분기 농심에게 약 421억 차이로 역전을 허용했던 외형을 368억 원 가량 앞서며 외형 우위 탈환에도 성공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오뚜기가 오랜 기간에 걸쳐 잘 구축해온 균형 잡힌 사업포트폴리오가 적절한 순간에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즉, 올 1분기 기준 전체 매출에서 라면류((면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이 농심은 약 79%에 달하는 반면에 오뚜기는 28.2%로 훨씬 적고, 나머지 소스류 등 5개 사업아이템이 각각 13~15% 비중을 유지함으로써 이중 1개 아이템의 등락에 크게 흔들리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이라는 것. 

즉, 지난해 상반기 코로나19 여파로 집콕 먹거리가 라면류에 편중됐던 수요가 시간이 흐르면서 컵밥 등 간편식과 맛집 등 외식업계 배달 메뉴로의 분산이 가속화되면서 사업 포트폴리오상 라면에 편중된 농심의 데미지가 오뚜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컸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영업이익 감소율, ‘오뚜기 12.3% vs 농심 55.5%’...오뚜기 ‘신승(辛勝)?’

외형에 이어 손익에서도 오뚜기가 농심보다 더 나은 성적표를 만들어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양사의 1분기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오뚜기가 지난해 1분기 572억 원 대비 12.3% 가량 감소한 502억을 시현한 반면에, 농심은 전년 동기 636억 대비 무려 55.5%나 급감한 283억 원 시현에 그쳐 오뚜기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적표를 내밀었다.  

이처럼 양사의 수익성이 훼손된 것은 판매관리비 상승 등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소맥(밀가루)과 팜유 같은 주요 원자재의 국제시세 급등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농심 1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라면의 주요 원재료인 소맥(밀가루)과 팜유의 1분기 말 국제 시세가 톤당 980달러와 238달러로, 지난해 말 627달러와 202달러 대비 각각 17.8%와 56.3%나 급등했고, 

기간을 넓혀 2019년 대비로는 각각 31.5%, 71.9%나 급등한 것으로 나타나 원가율을 끌어올렸지만 소매가격은 변동 없이 유지한 점이 손익악화의 주된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이로써 양사의 올 1분기 실적은 외형 증가율과 영업이익 감소율, 전사 매출 총액까지 모두 오뚜기가 농심을 앞섬으로써 ‘완승’을 거둔 것으로 봐도 무방할 것 같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HS효성, 차세대 배터리 핵심 ‘실리콘 음극재’ 사업 진출...기대치는?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HS효성그룹이 차세대 배터리 핵심 소재인 ‘실리콘 음극재’ 사업에 진출한다. 이는 ‘원천기술과 지적 자산에 기반한 가치 극대화’를 강조해 온 조현상 부회장의 ‘가치경영’의 일환이다. HS효성이 지난달 31일 1억2000만유로(약 2000억원)을 투자해 벨기에에 본사를 둔 글로벌 소재 기업 유미코아의 배터리 음극재 자회사 EMM을 인수하고, 유미코아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힌 것. 이번 거래는 당국의 승인을 거쳐 최종 마무리될 예정이다. 유미코아는 100년이 넘는 역사와 첨단소재 원천 기술력을 바탕으로 배터리, 촉매, 반도체, 방산, 우주항공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및 생산 능력을 가진 글로벌 기업이다. 최근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희토류 관련 기술도 보유하고 있고, 한때 퀴리 부인이 라돈, 우라늄 등 연구 활동을 했던 곳으로도 명성을 떨친 곳이기도 하다. ■ 실리콘 음극재, 향후 40% 성장 예상되는 차세대 배터리 게임 체인저 실리콘 음극재는 배터리의 음극에 적용되는 소재로 기존의 흑연 음극재 대비 에너지 밀도가 최대 10배 이상 높아 차세대 배터리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꼽힌다. 전기차의 충전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