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4.6℃
  • 구름많음강릉 15.4℃
  • 맑음서울 7.6℃
  • 구름조금대전 6.7℃
  • 구름많음대구 7.5℃
  • 맑음울산 10.7℃
  • 구름많음광주 9.8℃
  • 구름조금부산 15.6℃
  • 구름많음고창 7.8℃
  • 구름조금제주 13.7℃
  • 맑음강화 7.3℃
  • 구름많음보은 4.4℃
  • 흐림금산 4.7℃
  • 맑음강진군 9.3℃
  • 맑음경주시 7.1℃
  • 구름많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신제품]⑫불장란에 만두·라면..매운 맛 신제품 '눈길'

농심, 오뚜기, 풍림푸드, 롯데웰푸드 저마다의 야심작 선보여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최근 국내외 소비자들 사이에서 야식이나 안주 등의 메뉴로 매운 맛 먹거리들이 꾸준하게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식품업계가 새로운 제품들을 속속 선보이며 경쟁에 동참하고 있다.

지난 8월 농심과 오뚜기가 매운 맛을 한층 강화한 라면제품을, 지난달 27일엔 풍림푸드가 MZ세대 입맛 저격용 ‘불장란’ 2종을, 

또 지난 9일엔 ‘롯데웰푸드’가 극강의 매운맛을 내세운 ‘쉐푸드 크레이지 불만두’를 잇따라 선보이며 매운 맛 마니아층 저격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농심과 오뚜기, 신라면과 열라면 업그레이드 제품 출시

라면업계 1위 농심은 지난 8월 기존 신라면보다 2배 더 매운 ‘신라면 더 레드’를, 업계 2위 오뚜기는 자사 매운 라면의 대표 제품 ‘열라면’에 마늘과 후추를 더한 ‘마열라면’을 내놨다. 

먼저 농심의 신라면 더 레드는 스코빌지수는 7,500SHU로 기존 신라면 3,400SHU의 2배가 넘으며, 농심에서 판매하는 라면 중 가장 매운 제품인 앵그리 너구리(6,080SHU)보다도 높다. 

농심은 최근 소비자들의 매운맛에 대한 기준이 높아진 점을 고려해 신라면 더 레드를 개발했는데, 신라면 본연의 아이덴티티인 ‘맛있는 매운맛’을 지키면서, 보다 매운맛을 원하는 소비자의 입맛을 충족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했다는 것이 농심 측 소개다. 

이어 오뚜기가 출시한 ‘마열라면’은 스테디셀러 ‘열라면’에 마늘, 후추 등의 비중을 더 높여 개발한 제품이다. 깔끔한 매운맛이 특징인 열라면에 알싸한 마늘과 톡 쏘는 후추까지 더해 익숙하면서도 매력적인 새로운 매운맛을 구현했다는 것이 오뚜기 측 설명이다.

특히 신제품에는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에서 자란 마늘과 입자가 굵은 후추를 동결건조한 ‘마늘후추블럭’이 들어있어 마늘, 후추, 고추 각각의 특징을 잘 살려냈다고 덧붙였다.   

풍림푸드, 떡볶이 소스에 비벼 먹는 ‘알볶이’ 제품 ‘불장란’ 2종 선봬

풍림푸드는 지난달 27일, 떡볶이 속 삶은 계란을 제품화한 ‘불장란 오리지널맛’, ‘불장란 로제맛’ 신제품 2종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불장란’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먹어본 떡볶이 계란을 업계 최초로 제품화한 신개념 ‘알볶이’다. 매콤한 떡볶이 소스에 삶은 계란을 비벼 먹는 콘셉트의 제품으로, 최근 MZ 세대에서 주목받는 ‘매운 떡볶이’ 열풍을 알볶이로 재해석했다.

이른바 ‘매운맛 챌린지’ 고수들을 겨냥한 ‘불장란 오리지널’과 부드러운 로제 소스에 매콤한 한 방을 더한 ‘불장란 로제’ 2가지 소스 가운데 각자 취향에 맞는 소스를 선택하면 된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매운맛을 그대로 구현한 중독성 있는 소스 덕분에 ‘맵초보’부터 ‘맵고수’까지 누구나 맛있게 매운맛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 소개다.

아울러 각종 치즈, 라면 사리 등과 곁들여도 잘 어울리며, 알볶이 3알이 소포장 파우치에 담겨 있어 포장된 제품을 바로 먹거나, 용기에 옮겨 전자렌지에 데워 먹으면 된다고 덧붙였다.

롯데웰푸드, 극강의 매운맛 ‘쉐푸드 크레이지 불만두’ 출시  

이어 롯데웰푸드도 가정간편식 ‘쉐푸드(Chefood) 크레이지 불만두’를 출시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 야식, 안주 메뉴로 꾸준하게 인기를 끌고 있는 매운맛 식품 시장 공략에 나선 것.

회사 설명에 따르면 쉐푸드 크레이지 불만두는 극강의 매운맛을 자랑하는 냉동 만두 간편식으로, 시중의 매운맛 만두로는 만족하지 못한 소비자를 위해 매운맛에 진심을 다했고, 제품명도 직관적으로 네이밍해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크레이지 불만두는 첫 입부터 삼키는 끝 맛까지 점점 더 타오르는 듯한 차별화된 매운맛을 느낄 수 있는데, 중국 사천지방의 고추로 매운맛을 냈고, 스코빌 지수(맵기를 측정하는 척도)가 2만 3천에 달하는 특제 소스로 맵기를 끌어올렸다는 것.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매운맛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소비자를 위해 집에서 언제든 쉽고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야식용, 안주용 만두 제품을 기획했다”며 “시중의 매운 만두와 차별화된 매운맛으로 크레이지 불만두가 매운맛 만두의 대명사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HS효성, 차세대 배터리 핵심 ‘실리콘 음극재’ 사업 진출...기대치는?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HS효성그룹이 차세대 배터리 핵심 소재인 ‘실리콘 음극재’ 사업에 진출한다. 이는 ‘원천기술과 지적 자산에 기반한 가치 극대화’를 강조해 온 조현상 부회장의 ‘가치경영’의 일환이다. HS효성이 지난달 31일 1억2000만유로(약 2000억원)을 투자해 벨기에에 본사를 둔 글로벌 소재 기업 유미코아의 배터리 음극재 자회사 EMM을 인수하고, 유미코아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힌 것. 이번 거래는 당국의 승인을 거쳐 최종 마무리될 예정이다. 유미코아는 100년이 넘는 역사와 첨단소재 원천 기술력을 바탕으로 배터리, 촉매, 반도체, 방산, 우주항공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및 생산 능력을 가진 글로벌 기업이다. 최근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희토류 관련 기술도 보유하고 있고, 한때 퀴리 부인이 라돈, 우라늄 등 연구 활동을 했던 곳으로도 명성을 떨친 곳이기도 하다. ■ 실리콘 음극재, 향후 40% 성장 예상되는 차세대 배터리 게임 체인저 실리콘 음극재는 배터리의 음극에 적용되는 소재로 기존의 흑연 음극재 대비 에너지 밀도가 최대 10배 이상 높아 차세대 배터리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꼽힌다. 전기차의 충전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