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한 가족 2은행 ‘부산vs경남’ 1Q 손익 누가 짭짤했나?

2024.1분기 영업이익 증가율 ‘경남 26.6% vs 부산 –14.3%’
순익 증가율, ‘경남 19.1% vs 부산 –13.8%으로 경남 완승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영남권을 주된 영업기반으로 하는 BNK금융지주 소속 지방은행 BNK부산은행(이하 부산은행)과 BNK경남은행(이하 경남은행)의 올 1분기 손익을 분석한 결과, 설립연도나 자산 규모 등에서 아우격인 경남은행이 더 나은 성적표를 내민 것으로 나타났다. 

 


양사의 올 1분기보고서와 조세금융신문에 따르면, 연결기준 1분기 영업이익은 부산은행이 1485억 원을 시현, 지난해 1분기 1732억 원 대비 247억이 줄어 14.3% 가량 역 신장한 반면에 

경남은행은 1271억 원을 올려 전년 동기 1003억 원대비 267억 원이 늘며 약 26.6% 신장해 대조를 보였다.  


분기순이익 또한 부산은행이 올 1분기 1252억 원을 시현해 전년 동기 1453억 원 약 201억 원이 줄어 13.8% 가량 뒷걸음질 친 반면에, 경남은행의 경우 1012억 원을 기록해 지난해 1분기 850억 원대비 약 162억 원이 증가해 19.1% 신장했다.  

이에 대해 은행가에서는 고사성어 ‘청출어람’을 연상케하는 선전을 보여줬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처럼 양사의 희비가 엇갈린 같은 이유는 은행권의 핵심 수익원인 순이자이익(이자수익-이자비용)과 순수수료이익(수수료수익-수수료비용), 그리고 비용 측면에서 부실채권의 현실화를 대비한 대손 충당금 설정액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즉, 부산은행의 경우 순이자이익과 순수수료이익 모두 감소한데다 대손 충당금 설정(전입)액까지 늘면서 손익이 감소한 반면, 경남은행은 상기 두 부문의 핵심 손익이 전년 동기대비 증가한 데다 충당금 역시 소폭 늘어나는데 그쳐 전사 손익이 두 자릿수나 개선한 점이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양사 1분기보고서에 의거해 순이자손익(이자수익-이자비용)을 비교해 보면 부산은행은 올 1분기 약 3825억 원으로 전년 동기 3831억 대비 약 6억 원 줄어든 데다, 순수수료이익도 전년도 171억 대비 16억 원 가량 감소한 155억에 그쳤다.  

이에 더해 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도 올 1분기 628억 워늘 기록, 전년 동기 461억 대비 167억 원 가량이 늘어 손익 상황을 악화시켰다. 

반면에 경남은행은 올 1분기에 약 2594억 원의 순이자손익을 시현해 지난해 1분기 2462억 대비 약 132억 원이 늘었고, 순수수료손익도 전년도 132억 원에서 올 1분기 184억 원으로 52억 원 가량 증가하며 부산은행보다 우위의 손익 성적표를 만든 것으로 분석된다.  

은행가에서는 이 같은 호실적이 지난해 4월 취임한 BNK경남은행 예경탁 은행장이 지난 1년 여간 ‘지역경제에 큰 힘이 되는 은행'이라는 경영철학 아래 은행 내·외부에 걸쳐 변화와 혁신을 뚝심있게 추진해온 다양한 경영전략이 빛을 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BNK금융지주 내 맏형 격인 부산은행의 실추된 자존심(?) 회복을 위한 승부수는 무엇이고, 우위를 이어가기 위한 경남은행의 전략은 무엇인지에 쏠리고 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매일유업, 선천성대사이상 환아가족 성장캠프 23년째 후원 ‘훈훈’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매일유업(대표이사 김선희, 이인기, 곽정우)이 올해도 어김없이 선천성대사이상 질환인 PKU를 앓고 있는 환아가족들을 위한 캠프를 운영한 것으로 전해져 사회에 훈훈함을 더하고 있다. 지난 11일, 올해로 23년째 후원중인 ‘PKU 가족성장캠프’가 7월 10일부터 11일까지 1박 2일간 강원도 쏠비치 양양 리조트에서 성황속에 종료됐다고 밝힌 것인데, PKU(Phenylketonuria, 페닐케툔뇨증)는 선천성대사이상 질환 중 하나로 단백질 대사에 필요한 특정 효소가 선천적으로 부족해 장애를 초래하는 희귀난치성질환이다. 환아들은 모유는 물론 고기와 빵, 쌀밥 등 음식을 자유롭게 섭취하기 어렵고 평생 특수분유를 먹거나 엄격한 식이관리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식이관리를 못할 경우 분해하지 못하는 대사산물이 축적돼 운동발달장애, 성장장애, 뇌세포 손상 등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국내에서는 5만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PKU 가족성장캠프’는 식생활에 제약이 많은 환아 가족들에게 식이요법 및 치료에 대한 최신 정보를 공유하고 가족 간 정서적 유대관계를 마련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와 인구보건복지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