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기업현장 체감경기 8월 전망 "작년 4월부터 17개월째 부진"

내수·수출·투자 '트리플 악화' 14개월 연속 부진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대기업들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경기가 17개월째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8월 BSI 전망치는 93.5를 기록했다. 이러한 전망 수치는 작년 4월 99.1로 기준선 100 아래로 떨어진 후 17개월째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모습이다. 17개월 연속 부진은 2021년 2월 이후 최장기 부진 기록이다.


또, 7월 BSI 실적치도 94.9를 기록하면서, 작년 2월 91.5 부터 18개월 연속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장기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업현장에서 체감하는 경기를 기업에게 직접 설문형식으로 조사하는 BSI는, 긍정적으로 답변한 기업의 수와 부정적으로 답변한 기업의 수가 같을 경우 100을 나타내도록 설계돼있다. 조사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많으면, 많은 만큼 100을 초과하고 부정적인 답변이 많으면 그만큼 100 아래의 수치가 나온다.
 


8월 전망 BSI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91.8, 비제조업은 95.2로 조사됐다. 지난 7월 비제조업은 101.6으로, 2022년 5월 이후 14개월 만에 기준선 100을 초과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기준선 아래로 내려왔다. 제조업은 2022년 4월 이후 17개월 동안 기준선을 하회하고 있다.

제조업을 세부업종별로 보면, 기준선을 초과한 업종이 한 업종도 없었다. 식음료, 의약품, 전자·통신장비 등 3개 업종은 기준선 100에 걸쳤으나, 나머지 7개 업종(▸금속 및 금속제품 82.1, ▸비금속 소재 및 제품 83.3,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 85.0, ▸목재·가구 85.7, ▸섬유·의복 92.3, ▸자동차·기타운송장비 93.9, ▸석유정제·화학 96.4)은 기준선 100 미만으로 조사돼 8월에도 부진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통신장비는 2022년 9월 117.6 이후 11개월 만에 기준선 100을 회복했다.

※ 전자·통신(반도체 포함) BSI 전망치
117.6(’22.9월), 95.0(10월), 90.0(11월), 84.2(12월), 77.8(’23.1월), 85.7(2월), 80.0(3월), 85.7(4월), 72.2(5월), 95.2(6월), 95.2(7월), 100.0(8월)

제조업 세부업종 8월 전망 BSI



비제조업을 세부업종별로 보면, ▸여가·숙박 및 외식 123.1, ▸정보통신 105.9 가 호조 전망을 보였고, 전기·가스·수도 100.0는 기준선에 걸쳤으며, 나머지 4개 업종(▸운수 및 창고 85.2,▸도·소매 90.7,▸건설 93,2, ▸전문,과학·기술 및 사업지원서비스 93.3)은 8월에도 부진이 계속될 것이라는 응답이다.

비제조업 세부업종 8월 전망 BSI



8월 전망을 경제부문별로 보면,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 전망(▸자금사정 93.0,▸수출 93.5,▸투자 94.4,▸채산성 94.6,▸내수 95.4,▸고용 98.1)으로 조사됐다. 전 부문 부진은 2022년 10월부터 11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

특히, 내수, 수출, 투자는 2022년 7월부터 14개월 연속 동시에 부진했다. 내수·수출·투자가 14개월 연속 동반 부진한 것은 2021년 2월 이후 처음이다.

매월 대기업 BSI를 조사하고 있는 전경련의 추광호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이 경기침체 지속으로 인한 매출 둔화와 재고 증가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경기심리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다”라며, 

“기업활력 제고를 위해 규제혁신을 과감히 추진하는 한편, 노동시장 개혁과 세제경쟁력 개선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