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1 (화)

  • 구름조금동두천 -1.0℃
  • 맑음강릉 8.4℃
  • 연무서울 3.4℃
  • 구름많음대전 1.6℃
  • 맑음대구 1.6℃
  • 맑음울산 4.2℃
  • 맑음광주 3.4℃
  • 맑음부산 7.3℃
  • 맑음고창 -0.5℃
  • 흐림제주 10.5℃
  • 구름많음강화 0.0℃
  • 구름많음보은 -1.9℃
  • 맑음금산 -1.3℃
  • 맑음강진군 0.3℃
  • 맑음경주시 -0.1℃
  • 맑음거제 2.9℃
기상청 제공

기획PLUS

[최근 2년 기업현장] ① 설비투자 급증 10년래 최대

5년전 126조→'18년 157조, '17년부터 160조원 근접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최근 많은 경제지표가 하향 곡선을 그리며 경제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경제활력이나 청년일자리와 직결되는 제조업의 설비투자는 최근 2년새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조사한 지난해 국내 제조업 설비투자액은 157조원으로 2017년보다는 1.6% 감소했지만 2년 전인 2016년보다는 13%나 증가한 규모다. 


지난해 설비투자 규모는 2017년 159조원과 더불어 최근 10년래 가장 큰 규모로 최근 2년 새 설비투자가 크게 증가한 것을 보여준다.


10년 전인 2009년 제조업 설비투자는 100조원이었지만 2010년 22% 증가하면서 120조원으로 올라선후 2013년까지 120조원대에 머물렀다. 


이후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동안은 130조원을 넘기며 다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커다란 성장세로는 연결되지 못했다.


하지만 2년전인 2017년 설비투자는 14%나 증가하면서 150조원을 넘어 160조원에 육박하는 급증세를 보였다.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1.6% 감소하긴 했지만 157조원으로 여전히 160조원에 근접하는 투자가 이뤄졌다.




최근 제조업의 투자가 증가한 것은 반도체와 정유화학, 건설 등 최근 2~3년 영업실적이 크게 증가한 업종의 투자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국제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2017년부터 분기마다 영업이익 최고치를 경신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이 수년전부터 반도체굴기를 내세우며 투자를 크게 늘리자, 이미 실현된 대규모 이익을 바탕으로 투자를 크게 늘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비메모리에 대한 133조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반도체 업종과 더불어 지난 2~3년 이익이 크게 증가한 업종은 정유분야다.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소위 정유빅4는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2016년부터 예년의 실적을 크게 초과하는 대규모 이익을 실현했다.


전례없는 대규모 이익이 나자, 정유사들은 국제유가 변동에 취약한 영업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설비개선 등에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다.


에쓰오일은 최근 잔사유 고도화 컴플렉스와 올레핀 다운스트림 컴플렉스 설비를 준공했다.


이날 준공식에서는 60억 달러 규모의 스팀 크래커 및 올레핀 다운스트림 프로젝트를 2024년까지 완공하겠다고 발표했다.


현대오일뱅크도 올해 초 2017년부터 진행해 온 총 80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 중 2400억원이 투자된 SDA 공정을 완공했다. 


2017년 2월부터 시작된 SDA 건설 작업에는 연 인원 27만 명이 투입되는 등 자금과 인력이 대규모 투입된 것으로 전한다.




■ 해외로 빠져나가는 투자가 국내로 들어오는 투자보다 많아


제조업의 국내 설비투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해외로 빠져나가는 투자가 늘고 있어 업계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해외투자(ODI) 및 외국인 국내 투자(FDI) 현황'에 따르면 우리 기업이 해외에 투자하는 금액(ODI)은 10년 전인 2009년 51.8억 달러에서 지난해 163.6달러로 3배 넘게 증가했다. 


특히 2017년 까지 100억 달러 아래에 있던 해외투자가 2018년 갑자기 163.6달러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외국인들이 국내에 투자하는 금액(FDI)은 더딘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투자자금의 순유출이 늘어 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 실장은 “해외투자의 증가가 국내 투자 감소로 반드시 이어진다고 할 수 없지만, 국내 투자 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 입장에서는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해외로의 투자 유인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추 실장은 이어서 “외국인투자자에게도 한국의 각종 기업 관련 규제가 투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기업 활력을 되찾을 수 있는 적극적인 규제 완화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