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깔라만시에 그릭 요거트·제주햇차..새 먹거리 손짓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탐앤탐스와 빙그레, 아모레 오설록이 본격 봄 시즌을 맞아 피로회복과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다채로운 새 먹거리를 제안했다.

“봄·초여름에 딱!”..탐앤탐스, '깔라만시 레볼루션’ 3종 


토종 커피전문점 탐앤탐스는 지난 14일, 봄과 초여름 시즌에 제격인, 깔라만시 원액을 사용한 ‘깔라만시 레볼루션’ 3종을 출시했다. 

깔라만시에는 폴리페놀, 식이섬유가 들어있어 디톡스ž클렌즈 주스 원료로 각광받는 열대 과일. 또한 풍부한 비타민C, P가 피부 및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과일로 알려져 있다. 

탐앤탐스 설명에 따르면 이번에 선보인 깔라만시 레볼루션 3종은 깔라만시를 통해 환절기인 봄-초여름을 기운차게 보낼 수 있게 기획된 초여름 시즌 리미티드 에디션 음료다. 

탐앤탐스의 인기 MD 제품 ‘깔라만시톡스’를 베이스로 만들었는데, 깔라만시톡스는 최상품으로 인정받는 필리핀산 깔라만시를 과육만 추출하여 원액 100%를 담았다. 

설탕, 인공색소 등 첨가물을 일절 섞지 않아 원물 그대로의 맛과 영양을 느낄 수 있고, 다양한 레시피로 활용할 수 있어 창고형 대형마트, 쇼핑 라이브에서 구매 대란을 일으킨 바 있다. 

▲깔라만시 주스와 ▲깔라만시 에이드, ▲깔라만시 모히또 샤베트 등 3종으로 출시됐으며, 구매 시 그린 캠페인의 일환인 리유저블 유리컵 ‘에코 드링킹자’를 소진 시까지 증정한다. 

빙그레, 그릭요거트 ‘요플레 그릭’ 출시 
  

이에 앞서 지난 4일에는 빙그레가 그릭요거트 신제품 ‘요플레 그릭’ 2종을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한 요플레 그릭은 국내 떠먹는 요거트 1위 브랜드인 요플레의 그릭요거트 제품으로, 한 컵씩 개별 발효해 흘러내리지 않는 단단하고 꾸덕한 질감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특히 최대 93%의 높은 원유 함유량으로 진하고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는데, 색소와 감미료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누구나 부담없이 즐길 수 있도록 그릭요거트 특유의 시큼함을 줄였다. 요플레 그릭은 ‘플레인’, ‘달지 않은 플레인’ 2종으로 출시됐다. 

빙그레는 성장하고 있는 그릭요거트 시장에 주목해 이번 신제품을 기획하게 됐다. 최근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에 힘 입어 국내 그릭요거트 시장은 성장세에 있다. 

시장조사전문업체 닐슨코리아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떠먹는 그릭요거트 시장규모는 2022년에 약 47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63% 성장했다. 

오설록, 2023년 해차 15일부터 판매 돌입


아모레퍼시픽그룹의 티전문 회사 오설록은 2023년 해차를 지난 15일 선보였다. 해차는 매년 이른 봄 차나무의 새싹을 채엽해 한정 수량만을 생산한다. 오설록은 지난 6일, 돌송이 차밭을 비롯한 제주 각지의 오설록 차밭에서 올해 해차 수확을 시작했다.

제주는 내륙 지역보다 빠르게 찾아오는 봄 기후로 국내에서 해차 생산이 가장 빠르다. 온화한 기후의 생육 환경 덕분에 해차의 맛 또한 우수한데, 채엽 직후 보관기간 없이 가공해 신선함은 물론 봄철에만 즐길 수 있는 특별함이 있다. 

특히 올해 2~3월 제주의 충분한 봄비로 영양을 공급 받은 해차는 예년에 비해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더욱 맛이 좋다는 것이 회사 측 소개다.

어린 새순이 금빛을 띠는 특성을 반영해 2020년부터 해차 제품에 ‘황금빛 차밭에서 손으로 딴’ 의미의 ‘골든 픽(Golden Pick)’ 엠블럼을 표시하고 있으며, 해차로 덖은 수제 명차 ‘일로향’은 올해 1천개 한정 생산과 넘버링 표시로 리미티드 에디션의 가치를 더했다고 덧붙였다.

겨우내 제주의 눈과 찬바람을 견뎌낸 차나무가 틔운 올해의 첫 싹, ‘골든픽(Golden Pick)’은 지난 15일부터 오설록 직영몰, 티하우스와 티샵에서 순차적으로 판매중이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