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
  • 구름조금강릉 11.2℃
  • 구름많음서울 8.2℃
  • 박무대전 3.1℃
  • 맑음대구 2.3℃
  • 맑음울산 4.0℃
  • 맑음광주 3.6℃
  • 구름조금부산 8.8℃
  • 구름조금고창 1.6℃
  • 맑음제주 8.7℃
  • 구름조금강화 4.9℃
  • 구름조금보은 -1.0℃
  • 구름많음금산 -0.7℃
  • 구름조금강진군 0.9℃
  • 맑음경주시 0.4℃
  • 구름많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동국제강 안전시설 투자 220억원↑...안전 사각지대 '0'

안전보건예산 142% 확대...스마트 안전관리 도입

[산업경제뉴스 박진경 기자]  동국제강이 안전보건 부분의 투자를 대규모 확대하고, 안전보건경영을 강화한다.

동국제강은 2022년 안전보건 투자 규모를 40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35억원, 142% 늘렸다. 시설·인력·관리감독·외부평가·용품 등 안전보건 관련 모든 영역의 예산을 확대한다. 안전보건 관리자를 지난해 86명에서 올해 98명으로 늘렸고, 지속적으로 채용을 늘릴 예정이다. 특히 안전보건 시설 투자에 전체 예산 59%를 할애한 237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시설 투자는 전년대비 220억원 증액한 규모다.

동국제강 안전보건 투자 계획
 

이에 따라 경영책임자인 김연극 사장이 주관, 위험차단시스템(I.L.S.) TF를 구성하고 기존 각 사업장별로 운영되던 시스템을 전사 기준으로 통합, 고도화할 계획이다. I.L.S.는 수리나 정비 시 설비 가동 에너지원에 대한 차단·격리·잠금 실현을 통해 재해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체계다.

협력사 안전보건 경영 강화를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동국제강은 올해 모든 협력사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MS) 인증을 추진한다. 협력사와 월 2회 안전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안에 전 협력사가 KOSHA MS를 인증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동국제강은 공장 전반에 스마트 안전 시스템을 도입해 실효적인 ‘안전 사각지대 제로화’를 실천할 계획이다.

 

우선 현장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확충한다. 이동형 CCTV를 확대 운영해 실시간으로 안전 현황을 모니터링한다. 이동형 CCTV는 PC, 스마트폰과 연동돼 위험 행동이나 상황 발생 시 중앙관제센터로 정보가 즉시 전달된다.

작업 이동간 사고 발생을 방지한다. 공장 내부 지게차, 차량 등 중장비에 AI카메라, 어라운드뷰 카메라, 속도제한장치, 시동 연동 안전벨트를 설치한다. 스마트밴드도 활용한다. 동국제강은 블루투스 기반 스마트밴드 모니터링 시스템인 ‘D-Blu’ 시스템을 개발, 올해 이를 부산과 인천 공장 등의 현장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D-Blu’ 시스템은 위치 기반 시스템을 통해 현장 근로자의 심박수와 체온, 움직임 여부 등이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시스템에 전달되며, 위험 상황 발생 시 긴급 알람을 송출한다.

동국제강은 안전보건 경영 비전인 ‘일하는 모든 사람들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올해를 원년으로 삼아 회사의 자원을 집중할 방침이다. 


 

■ 동국제강 안전보건 강화 방안

1) 안전보건 투자 확대
- 안전보건 예산 : 401억원(전년비 142% 증가)
- 안전시설 투자 : 237억원(220억원 증액)

2) I.L.S.(Isolation Locking System, 위험 차단 시스템) 재정립
- 경영책임자 주관 I.L.S TF
- 사업장별 I.L.S. 운영(현재) à 전사 기준 통합 및 재정립, 설비 개선 및 투자

3) 협력사 안전보건 경영 시스템(KOSHA MS) 지원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전 협력사 인증 지원(2022년 완료 목표)
- 협력사 KOSA MS 협의체 운영(월 2회)
- 협력사 안전 보건 관리 대행 의무화

4)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강화 : “안전 사각 지대 제로화”

4-1) 현장 관리 강화 : 위험 상시 모니터링
- 안전관리 이동형 CCTV 도입 및 운영
- 안전 모니터링실(CCTV실) 운영
- 블루투스 스마트밴드 연동 안전 알림 시스템(D-Blu)

4-2) 중장비 스마트 안전장치 설치
- 사람 인식 AI카메라, 어라운드뷰 기능 탑재
- 속도제한장치 및 시동연동 안전벨트 의무화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HS효성, 차세대 배터리 핵심 ‘실리콘 음극재’ 사업 진출...기대치는?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HS효성그룹이 차세대 배터리 핵심 소재인 ‘실리콘 음극재’ 사업에 진출한다. 이는 ‘원천기술과 지적 자산에 기반한 가치 극대화’를 강조해 온 조현상 부회장의 ‘가치경영’의 일환이다. HS효성이 지난달 31일 1억2000만유로(약 2000억원)을 투자해 벨기에에 본사를 둔 글로벌 소재 기업 유미코아의 배터리 음극재 자회사 EMM을 인수하고, 유미코아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힌 것. 이번 거래는 당국의 승인을 거쳐 최종 마무리될 예정이다. 유미코아는 100년이 넘는 역사와 첨단소재 원천 기술력을 바탕으로 배터리, 촉매, 반도체, 방산, 우주항공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및 생산 능력을 가진 글로벌 기업이다. 최근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희토류 관련 기술도 보유하고 있고, 한때 퀴리 부인이 라돈, 우라늄 등 연구 활동을 했던 곳으로도 명성을 떨친 곳이기도 하다. ■ 실리콘 음극재, 향후 40% 성장 예상되는 차세대 배터리 게임 체인저 실리콘 음극재는 배터리의 음극에 적용되는 소재로 기존의 흑연 음극재 대비 에너지 밀도가 최대 10배 이상 높아 차세대 배터리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꼽힌다. 전기차의 충전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