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전세계 블록체인 관련 특허 출원 폭발

'13년 27건 → '15년 258건 → '16년 594건 등 1249건
G2(미국, 중국)가 78%, 한국 8%, 일본 3% 불과
미국은 금융기업 특허출원 활발, 한국은 금융업 현재까지 無



최근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자 그 기술적 기반인 블록체인 특허 출원도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지식재산 선진 5개국(IP5, 한국·미국·일본·중국·유럽)에 출원되어 최근까지 공개된 블록체인 관련 전 세계 특허 출원이 모두 1248건이라고 21일 밝혔다.


2009년 블록체인이 구현된 이래 2013년 27건에서 매년 2배~3배 증가해 2015년은 258건, 2016년은 594건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별 출원 실적은 누적건수를 기준으로 미국이 1위로 집계됐다. 하지만 2016년 이후에는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서서 조만간 누적 건수에서도 중국이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G2(미국, 중국)로의 편중 현상도 심해 미국과 중국이 전체 특허 출원의 대부분인 78%를 차지했으며 3위, 4위를 차지한 우리나라와 일본의 점유율은 각각 8%, 3%에 불과했다.


한편 특허 출원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간접지표인 해외 출원 비율은 미국이 중국을 제치고 압도적인 선두를 지켰다.
 
특허를 출원한 주체별로는 전 세계 블록체인 특허 출원 중 81%를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미국은 은행 등 금융기업에 의한 특허 출원도 활발한 편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대기업보다 벤처 기업 등 중소기업 비중이 66.7%로 매우 높은 특징을 보였으며 금융기업에 의한 특허 출원은 아직까지 한 건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미국의 BOA가 1위를 차지했고, 우리나라의 암호화폐 관련 기업인 코인플러그가 2위에 올랐다. Bubi 네트워크 등 중국의 핀테크 기업 4개는 Top 10에 이름을 올렸다. 


■ 기술개발 초기 단계로 특허 선점의 적기


블록체인의 기본 개념은 이미 Open Source로 누구도 특허를 갖지 못하는 자유 기술이다. 따라서 특허 출원은 주로 보안, 운용, 활용 등 주변 기술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특히 블록체인이 암호 화폐에서 물류·의료·공공 서비스 등으로 활용 범위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특허 출원도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경우 암호화폐 거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미국과 중국처럼 블록체인에 기반한 서비스 분야로 R&D 투자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편 블록체인은 최근에 부상한 기술이라 표준 특허는 전무한 상황이고 국제 논의도 아직 초기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7년부터 국제 표준화 기구(ISO, ITU)에서 관련 논의가 시작되어, 현재 보안, 의료정보 관리, 디지털 화폐 등 블록체인 전반에 걸쳐 논의가 진행 중이고 우리나라도 ETRI, KAIST 등이 주요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허청 김용선 산업재산정책국장은 “블록체인 분야는 기술 개발 초기로 지금이 핵심·표준 특허를 선점할 수 있는 적기다”며 “R&D 관련 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핵심·표준 특허를 확보할 수 있도록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R&D 전략 수립 등 특허전략 컨설팅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