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업계에서 '정유빅4'로 불리우는 정유사들의 올해 3분기까지 실적은 지난해보다 2~3배 높은 우수한 성적표를 받았다.
정유빅4의 평균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78.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58.9%, 당기순이익은 무려 238.5% 증가했다. 이유는 한 가지다. 기름값이 올랐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침체로 지난 2~3년 국제원유가는 배럴당 60달러 선에 머물렀지만, 올해 2월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면서 기름값이 치솟아 100달러를 넘겼다. 5월을 정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했지만 9월까지도 90달러선을 유지하며 지난해보다 여전히 높았다.
특히 정유사의 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정제마진은, 코로나19 시절 마이너스 수치를 보이기도 했지만 올해 3월 이후 급상승하면서 5~6달러 선에서 25달러까지 치솟았다. 정유사들의 이익 규모가 지난해보다 2~3배 커지면서 전례 없는 이익을 기록한 이유다.
정유빅4의 올해 1~3분기 누적 영업실적을 회사별로 살펴보면, SK이노베이션이 3분기까지 매출 58.9조원을 실현하며 업계 1위 자리를 고수했다. 그 뒤로 GS칼텍스가 43.8조원을 실현했고 S-OIL이 31.9조원, 현대오일뱅크가 26.3조원을 실현했다.
지난해보다 매출이 가장 많이 늘어난 회사는 GS칼텍스로 88.5%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그 다음은 현대오일뱅크가 79.6%, SK이노베이션이 77.8%, S-OIL이 66.1%를 기록하며 네 회사가 모두 큰 매출 증가폭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이익은, 환경변화나 회사의 노력에 따라 큰 변동을 보이기도 하지만, 매출의 경우는 10%의 변동률을 보여도 이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감안할 때, 올해 정유빅4의 매출 증가세는 정유업계뿐만 아니라 재계 전체가 놀랄만한 증가폭이라는 반응이다.
이런 매출 증가세는 이익 증가세에 비하면 수치가 작은 편이다. 올해 정유빅4의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SK이노베이션이 4.68조원을 기록하며 업계에서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실현했고, GS칼텍스가 4.03조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S-OIL은 3.57조원을 실현했고 현대오일뱅크가 2.78조원을 기록하며 회사별 이익순위도 매출순위와 일치했다.
이익 증가세는 현대오일뱅크가 전년 동기대비 226%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가장 큰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보다 이익이 무려 3배 넘게 증가했다. GS칼텍스도 186% 증가율을 보이며 3배 가까이 증가했고, SK이노베이션이 160%, S-OIL이 104% 증가율을 기록하며 모두 2배 넘는 이익 성장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런 높은 이익 증가율도, 정제마진이 지난해 1~3달러 선에서 올해 25달러까지 상승한 것을 감안하면 오히려 높지 않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제정세에 따라 급변하는 유가와 정제마진 등 정유회사의 영업환경이 워낙 변화무쌍하다보니 정유사의 이런 들쑥날쑥 실적은 이제 업계에서는 익숙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유빅4가 올해 3분기까지 이렇게 역대 최고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실현하며 전례 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는 듯 하지만 앞으로의 전망은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계속되고 있지만 이로인한 경제침체가 장기화 되면서, 유가가 다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기때문이다.
국제유가는 이미 60달러 선까지 떨어졌고, 25달러 선이던 정제마진도 지난 10월에는 2.6달러 선으로 10분의 1수준으로 내려오기도 했다.
이때문에 정유빅4의 올해 분기별 영업이익 추이를 보면, 1, 2분기의 높은 영업이익이 3분기에 갑자기 위축되는 모습을 일괄적으로 보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 2분기에 2조3292억원의 역대최고 영업이익을 기록했지만 3분기에는 7040억원으로 한 분기만에 3분의 1 토막이 됐다. GS칼텍스도 62% 감소하며 절반 이하로 감소했고, S-OIL도 70%, 현대오일뱅크도 49%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감소폭이 더 크다. SK이노베이션이 2분기 1조3385억원에서 3분기 1752억원으로 87% 감소했고, GS칼텍스도 1조4356억원에서 3990억원으로 72%, 현대오일뱅크가 8180억원에서 1781억원으로 78% 감소했다. S-OIL은 2분기 1조142억원에서 3분기에는 96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1조원이 넘던 이익이 한 분기만에 적자가 됐다.
이렇게 국제유가와 정제마진 등 회사가 통제할 수 없는 영업환경에 크게 노출된 정유사들은 사업다각화 및 원유공급망 다변화, 수출지역 확대 등을 통해 영업환경 변화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오래전 부터 하고 있다.
하지만 정유사들의 오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유사들은 올해 또 다시 유가와 정제마진 변화에 따라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업계의 안타까움도 계속되고 있다.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bhc·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창고43·큰맘할매순대국 등을 운영하는 종합 외식기업 다이닝브랜즈그룹이 ESG경영의 일환으로 진행한 '투게더, 위 그로우 아름다운 물품 기부' 캠페인을 성황리에 마무리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사회공헌 봉사단 ‘다인어스’가 주관했으며, 사람(人)과 지구(Earth)의 조화로운 성장을 추구하는 ESG 비전을 바탕으로 기획됐다. 슬로건 ‘투게더, 위 그로우’에는 지속 가능한 나눔과 상생의 가치를 실천하겠다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의지가 담겼다. 3월 26일부터 4월 8일까지 진행된 기부 캠페인에는 총 332명의 참여자가 동참했고, 기부 물품은 총 1,676건으로, 의류 864건, 잡화 427건, 도서 377건, 소형가전 8건 등이 접수됐다. 특히 다이닝브랜즈그룹 임직원뿐만 아니라, 롯데타워에 입주한 입주사 직원들은 물론 타워 환경미화원들도 함께 참여하여 그 의미를 더했다. 단순히 회사 임직원들만의 선한 활동을 넘어 주변의 많은 이들이 나눔에 동참한 이번 기부는 사회공헌에 대한 공감대를 더욱 넓히고,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선한 활동들이 사회 곳곳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엘지유니참㈜(대표 김성원)이 자사 ‘쉐어 패드(Share Pad)’ 캠페인으로 사단법인 한국한부모가족복지시설협회에 쏘피(SOFY) 생리대 10만개와 마미포코 기저귀 3만6,000개 도합 5,000만원 상당의 위생용품을 기부했다. 지난 2013년부터 생리대와 기저귀를 지역사회에 나누는 쉐어 패드 캠페인을 진행하며 여성들의 건강한 삶과 사회 진출을 지원하고 있는 엘지유니참은 이 캠페인으로 지금까지 100만개 이상의 생리대와 기저귀를 기부했다. 이들 물품은 한부모 가족의 엄마와 아기를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엘지유니참 사회공헌 담당자는 “사회적 공헌 활동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람을 느끼고 있다”며 “엘지유니참의 선한 영향력으로 삶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힘이 되고 차별적인 고객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엘지유니참은 올해 100만개 이상의 위생 용품을 복지 사각 지대에 놓인 사회적 약자 등에게 기부할 계획이다.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국내 1위 캐주얼 다이닝 레스토랑을 지향하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이하 아웃백)가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한 끼의 소중한 가치를 전하는 활동을 전개해 훈훈함을 더하고 있다. 지난 3일 다일복지재단 밥퍼나눔운동본부에 식재료 총 119개(2,500만원 상당) 박스를 전달하며 따뜻한 한끼의 가치를 나누는 기부 활동을 전개한 것. 다양한 나눔과 기부 등으로 ‘사회적 책임’을 적극 실천하고 있는 아웃백의 이번 기부는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러브백(Love Back)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러브백’은 브랜드의 핵심 가치인 ‘좋은 음식은 좋은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정성과 따뜻함을 사회 전반으로 확장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아웃백은 해당 캠페인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곳에 실질적인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 기부 전달식은 서울 동대문구 소재 다일복지재단 밥퍼나눔운동본부에서 진행됐다. 현장에는 정필중 아웃백 사업본부장과 장임선 아웃백 운영담당 이사를 비롯해 다이닝브랜즈그룹 동반성장팀 임직원들이 직접 참여해 따뜻한 마음을 전했다. 전달된 식재료는 밥퍼나눔운동본부의 무료 급식 활용에 사용돼, 취약계층에게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동서식품(대표 김광수)이 후원하는 ‘제26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에서 이지현 9단이 신진서 9단을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동서식품 전언에 따르면 5년 만에 맥심커피배 우승에 도전한 이지현 9단은 맥심커피배 전기 우승자인 신진서 9단을 맞아 치열한 승부를 벌여 시선을 끌었는데, 지난달 31일 진행된 결승 1국에서 전기 우승자 신진서 9단을 상대로 94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뒀으나, 4월 2일 경기도 가평군 마이다스 호텔 앤 리조트에서 열린 결승 2국에서 패하며 승부가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어 지난 7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 바둑TV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결승 3국에서 팽팽한 접전 끝에 이지현 9단은 178수 만에 백 불계승으로 신진서 9단을 꺾고 최종 우승자가 됐다. 이로써 이지현 9단은 대회 전기 우승자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는 쾌거를 이뤘으며, 2020년 우승 이후 5년 만에 맥심커피배 우승 기록을 갖게 됐다. 우승자 이지현 9단에게는 우승 트로피와 함께 상금 7천만 원이, 준우승자 신진서 9단에게는 트로피와 상금 3천만 원이 수여된다. 시상식은 오는 23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된다. 이지현 9단은 “지난 대회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울산 도심의 한 공원이 LG생활건강과 지역사회의 노력으로 다양한 수목을 갖춘 도심 내 생태 숲으로 거듭나고 있다. LG생활건강이 지난 8일 울산 북구 신천공원 일원에서 ‘도심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나무 심기 행사를 진행했다고 9일 밝힌 것인데, 2023년 ‘꿀벌의 공원’, 2024년 ‘새들의 공원’에 이어 울산에서 3년 연속 진행하고 있는 숲 가꾸기 사업은 지속 가능한 ESG 경영으로 생태계 복원과 지역 사회와의 상생을 강조하고자 하는 LG생활건강의 노력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LG생활건강을 비롯해 지역 환경단체인 울산생명의숲,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울산 북구청, 울주군 등 행사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공원 주변 곳곳에 1,500여 그루의 묘목을 심고 공원 시설을 정비하는 등 생태계 보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특히 꽃이 아름답고 튼튼한 애기동백과 산수유, 정원의 정취를 담은 팜파스 그라스, 수국 등 20여 종의 크고 작은 나무를 공원 내 인공습지 인근에 식재했다. 이로써 곤충과 어류, 파충류, 양서류, 조류 등이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생물 다양성 증진 효과를 기대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롯데웰푸드가 지난 4월 3일 창립 58주년을 기념해 서울시 양평동 본사에서 우수 파트너사 시상식을 가졌다. 이는 지난 한 해간 회사와 함께 성장하는 데 적극 협력해 준 파트너사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함으로, 롯데웰푸드는 이번 시상을 통해 9개 파트너사, 55개 대리점에게 상패를 전달하고 총 3억8천2백만 원 상당의 금융 지원을 진행했다. 선정된 기업은 삼광식품, 유창성업, 에스디푸드, 하이푸드텍, 동화, 오래식품, 선일이씨티, 신우에프에스, 유래코 등으로, 이들 기업은 원가 절감, 매출 기여, 신제품 기여, 클레임, 기술 및 에너지 환경, 원료 및 포장재 등 다양한 부문에서 각각 높은 기여도를 인정받았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아울러 소비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롯데웰푸드 제품의 접점 확대를 위해 노력한 대리점들에도 시상이 주어졌다. 매출 규모와 손익 등 여러 기준을 공정하게 검토했다. 한편, 우수 파트너사 시상식은 올해로 35회를 맞은 롯데웰푸드의 대표적인 상생 프로젝트다. 파트너사와 함께 양질의 제품을 안전하고 바르게 생산해 소비자에게 전달한다는 공동의 목표와 상생의 가치를 공유하고 파트너십을 강화하고자 매년 지속 전개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두유, 베지밀 등 건강한 식재료를 생산·판매하는 ㈜정식품(대표 정연호)이 ‘인류의 건강과 지속가능한 미래 추구’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한다. 정식품에 따르면 국내 두유업계 1위 기업으로서, 최근 공식 홈페이지에 ESG 경영방침을 공개하고, 환경경영과 윤리경영, 사회공헌활동 등 다양한 분야의 실천 방안을 소개했다. 이번 ESG 경영방침에는 ▲고객 중심 경영 ▲사회적 책임 이행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 ▲개인적 이익 배제 ▲청렴 경영 실천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정식품은 그동안 환경부 등이 주관한 ‘종이팩 자원순환 지원사업’에 참여해 종이팩 재활용 관련 소비자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활동을 했으며, 청주시와도 ‘종이팩 자원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는 등 꾸준히 환경 보호를 실천해 왔다. 또한, 2024년부터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등과 협력해 멸균팩을 재활용해 생산한 백판지를 베지밀 24개입 포장박스에 적용했다. 아울러 보일러 폐열 회수 설비를 도입해 온실가스 배출과 에너지 소비를 줄였으며, 공장 내 용수 사용량을 절감하는 등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 이외에도 정식품은 기업의 사회적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