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흐림동두천 12.0℃
  • 맑음강릉 18.0℃
  • 구름많음서울 13.0℃
  • 구름조금대전 15.7℃
  • 구름많음대구 12.2℃
  • 구름많음울산 12.1℃
  • 구름조금광주 12.2℃
  • 구름조금부산 13.7℃
  • 맑음고창 14.4℃
  • 구름많음제주 17.5℃
  • 맑음강화 9.5℃
  • 맑음보은 8.2℃
  • 맑음금산 13.6℃
  • 구름조금강진군 11.6℃
  • 구름많음경주시 10.1℃
  • 구름많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The 2023 K3’ㆍ‘The 2023 K3 GT’ 1750~2720만원 출시

8인치 디스플레이 오디오, 후방 모니터 등 주력 트림 기본 적용

[산업경제뉴스 김소산 기자]  기아가 상품 경쟁력을 높인 ‘The 2023 K3’와 ‘The 2023 K3 GT’를 9월 5일(월)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한다고 2일 밝혔다.

The 2023 K3는 연식 변경 모델로, 고객 선호 사양을 기본화해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신규 디자인 사양 적용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인포테인먼트 기능에 대한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8인치 디스플레이 오디오 △후방 모니터 △샤크핀 안테나가 포함된 신규 패키지를 주력 트림인 프레스티지에 기본 적용했으며 엔트리 트림인 트렌디에서도 선택할 수 있게 했다. 또한 모든 트림에 LED 실내등(맵램프·룸램프)을 기본 적용하고 프레스티지에 △메탈 페달 △운전석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독립제어 풀오토 에어컨 등을 기본화했다.

아울러 The 2023 K3는 기존의 △트렌디 △프레스티지 △노블레스 △시그니처 4가지 트림을 △트렌디 △프레스티지 △시그니처 등 3가지 트림으로 재구성해 고객이 더욱더 쉽게 트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기아는 최상위 트림 시그니처에서 선택 가능한 신규 디자인 패키지 ‘블랙핏’도 운영한다. 블랙핏 패키지는 △17인치 블랙 휠 △아웃 사이드미러 블랙 커버 △블랙 리어 스포일러 △사이드실 몰딩 등으로 구성돼 역동적이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강조했다.

기아는 이날 The 2023 K3 GT도 함께 선보인다.

The 2023 K3 GT는 기존에 선택사양으로 운영하던 △10.25인치 내비게이션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고속도로·자동차 전용도로 안전 구간·곡선로) △고속도로 주행 보조 △LED 실내등(맵램프·룸램프)을 기본 적용해 상품성을 한층 강화했다.

The 2023 K3의 판매 가격은 △트렌디 1752만원 △프레스티지 2071만원 △시그니처 2449만원이며, 단일 트림(시그니처)으로 운영되는 The 2023 K3 GT는 2724만원이다(개별소비세 3.5% 기준).

기아는 K3가 준중형 시장에서 세련된 스타일과 뛰어난 가성비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 모델이라며, 상품성을 강화하고 스포티한 디자인으로 경쟁력을 높인 The 2023 K3는 국내 준중형 세단을 대표하는 모델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LG생활건강, ‘여성장애인 날개달기 사업’ 지원자 모집...자격과 혜택은?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LG생활건강이 아름다운재단과 함께 사회참여·육아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맞춤형 보조기기를 지원하는 ‘여성장애인 날개달기 사업’에 참여할 지원자를 이달 11일까지 모집한다. 모집 대상은 사회 활동을 하거나 이를 병행하여 육아 중인 서울·경기 거주 만 19세 이상 65세 이하 여성 장애인 20명이다. 2020년 여성장애인 날개달기 사업을 처음 시작한 LG생활건강은 지금까지 5년 간 총 137명에게 보조기기를 제공했다. 올해는 ▲이동용(휠체어, 운전 보조기, 경사로 등) ▲학습 및 업무용(확대기, 특수 마우스, 특수 키보드, 화면 낭독 소프트웨어 등) ▲가사 및 육아용(높이 조절 유아침대, 베이비 모니터, 배변 알리미 등) ▲호신용(경보기, 삼단봉, 화재감지기 등) 분야와 함께 ▲건강관리용(휠체어 피트니스기기, 기립 보조기기 등)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보조기기를 지원한다. 1인 최대 400만원 안팎으로 수량과 품목 제한 없이 활용 목적에 맞춰서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다. 사업 지원자로 선정되면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소속 보조공학 전문가의 상담을 거쳐 맞춤형 보조기기를 지원받는다. 이후 사용 및 관리 교육, 사후 관리 서비스도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