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1 (금)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2.6℃
  • 맑음서울 -4.9℃
  • 맑음대전 -3.2℃
  • 맑음대구 -1.9℃
  • 구름조금울산 -1.4℃
  • 구름조금광주 -1.6℃
  • 구름조금부산 0.5℃
  • 흐림고창 -3.9℃
  • 구름많음제주 2.5℃
  • 맑음강화 -5.0℃
  • 구름조금보은 -4.3℃
  • 맑음금산 -4.3℃
  • 구름많음강진군 -0.7℃
  • 구름조금경주시 -1.7℃
  • 구름많음거제 0.6℃
기상청 제공

중국·일본 정유생산 감축...정유사들 안도 한숨

유가급락으로 추락한 주가, 연말부터 회복 기대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지난 3년 유가가 고공행진을 펼치면서 정유사들도 사상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었지만 최근 유가가 급락하자 정유사들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정유사들이 아무리 사업다각화를 해도 결국 정유사들의 이익은 유가변동에 끌려다닐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유가가 하락하자 중국과 일본의 정유사들이 정유생산량을 감축하면서 정유사들은 안도의 한숨을 쉬는 분위기다. 아무래도 시장에 공급물량이 줄어들면 수요와 공급에 민감한 정제마진이 커져서 지금의 호황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 때문이다.


■ 유가 등락 따라 들쑥 날쑥한 정유사 영업실적


2014년 하반기 부터 국제유가가 급락세를 보였다. 국제경기가 침체 국면으로 접어든데다 중동지역의 정쟁과 미국과 러시아의 대립 등 정치적인 이유때문이었다.


이렇게 유가가 하락하자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 4사의 이익도 급락해 2014년 4분기에는 한 분기에만 4사 합계 1 조원이 넘는 손실을 내기도 했다. 


하지만 국제유가가 2015년을 저점으로 최근까지 3년 동안 상승세를 타자 이에따라 정유사들의 이익도 급등했다. 2016년 정유사들은 역대 최고이익 행진을 벌였고 올해 들어와 다소 주춤하긴 하지만 호조세를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10월 까지 상승세를 타던 유가가 최근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배럴당 82.7 달러까지 치솟았던 두바이유는 12월 11일 현재 59.0 달러에 거래됐다. 한 달 사이 29%나 떨어졌다.


최근 사우디 사태 등 중동국가들과 날을 세우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의 셰일가스를 무기로 '유가 낮추기'를 외치며 국제 원유 시장의 주도권을 가져오려는 행태가 가장 큰 이유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이렇게 폭락에 가까운 유가하락에 국내 정유4사는 긴장의 끈을 바짝 조이고 있다. 실제 증권시장에서는 국제유가가 이런 흐름을 보이자 곧바로 SK이노베이션과 S-OIL의 주가가 급락했다.


SK이노베이션 주가는 10월 2일 22만7000원까지 올랐지만 12월 11일 18만1000원으로 장을 마쳤다. 두 달 사이 20%가 떨어졌다.


S-OIL 주가도 10월 2일 13만9000원을 찍은 후 계속 하락해 10만3500원까지 떨어졌다가 12월 11일에는 10만550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고점대비 24% 하락한 모습이다.




■ 중국, 일본 생산량 감축 "연말부터는 정제마진 회복된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손익분기점까지 하락한 정제마진이 연말께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SK이노 베이션을 비롯한 국내 정유 업체의 업황이 호전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싱가폴 정제마진은 지난 11월 유럽산 휘발유가 역내로 공급되기 시작하면서 11월 4주, 배럴 당 약 4 달러까지 떨어졌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정유업체들의 손익분기점은 배럴 당 4.5 달러로 알려져 있어 4분기 실적에 대한 업계의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늦어도 12월 말~1월에는 아시아 정유사들이 가동률 조정에 돌입해서 싱가폴 정제마진이 다시 반등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안타증권 황규원 연구원은 “1월에 접근할수록 휘발유 정제마진은 회복이 예상된다”며, “특히 중국의 소형 정유사와 일본의 소규모 정유사에서 생산량 조정 검토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중국 소형 정유사들이 먼저 가동률 감축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10월 63% 수준의 고율 가동을 유지했던 소형 정유사들은 11월 4주 59%까지 비정상적인 하향 조정에 돌입한 바 있다.


이는 휘발유 마진이 적자로 돌아서면서 제품 생산 경쟁력이 열위인 소형 정유사들이 먼저 적자에 들어선 것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제품 공급이 감소해 역내 정제마진 반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유사들의 손익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재고평가 손실도 지난 7일 OPEC 및 비OPEC국이 감산에 합의하면서 4분기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렇게 정유사들의 경영실적이 변덕스러운 국제정치에 따라 좌지우지 되면서 전문가들은 유가의 변동에 흔들리지 않는 영업구조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오래전부터 해왔다.


이러한 지적에 따라 정유사들도 최근의 호황으로 얻은 이익을 사업다각화 등에 적극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유가가 가져오는 외생 변수의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딥체인지2.0 기반 사업구조 고도화에 나선 바 있다"면서 "통제 불가능한 유가 등락에 덜 영향 받기 위해 비정유 중심 신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개발, 안정적인 경영 성과를 창출해 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도 “2015년 이전 10% 미만에 머물던 비정유부문 비중은 2017년 30% 대까지 높아졌다”면서 “올해 착수한 HPC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는 2022년에는 이 수치가 45%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사업다각화 노력을 설명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엘지유니참, 고양이 모래 먼지 날림 극복 도움 솔루션 제안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LG생활건강과 일본 유니참 그룹의 합작회사인 엘지유니참㈜의 반려동물용품 브랜드 ‘엘지유니참 펫케어’가 새로운 프리미엄 고양이 모래 ‘더스트 솔루션 벤토나이트’를 출시했다. 엘지유니참에 따르면 고양이를 실내에서 키울 때는 고양이 모래가 필수품이다. 고양이 반려인(일명 집사)의 약 60%는 응고와 탈취가 잘되는 점토 광물인 ‘벤토나이트’로 만든 모래를 사용한다. 하지만 벤토나이트는 먼지 날림이 심한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단점 해결을 위해 제품 생산 과정에 5단계 ‘에어워시 시스템’을 적용했다. 원료 상태의 벤토나이트에 바람을 쏘는 에어워시로 시작해서 ▲수직 진동 모션 ▲마그네틱 필터링 ▲멀티 필터링 ▲진공 집진 과정을 거쳐 먼지의 양을 크게 줄였다는 것이 업체 측 소개다. 즉, 프리미엄 급 벤토나이트의 최대 산지인 미국 와이오밍 주에서 채굴한 벤토나이트를 사용해서 원료의 신뢰성도 높였고, 고양이가 배변하는 즉시 응고되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냄새 줄이는데 좋은 활성탄도 첨가해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설명이다. 엘지유니참 관계자는 “고양이 모래 부을 때마다 뭉게뭉게 올라오는 먼지 때문에 눈이 따갑고 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