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쓴맛없는 초고온 발효 홍삼 출시

초고온에서 살아 남은 유익균만 발효해 추출



전통발 홍삼이 초고온발효 기술을 적용해 쓴맛이 없고 유해균이 없는 홍삼 프리미엄 S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초고온 발효란 65도 이상의 고온에서 살아남는 강력한 미생물을 선별하여 발효시키는 것이다. 

초고온 발효를 개발해낸 신승호 대표는 기존 발효에 다음의 문제점이 있는 것에서 프리미엄 S 제품 개발을 착안한 것으로 전한다. 

우선 효소를 설탕에 재우는 것은 발효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효소를 상하지 않게하여 당도를 높여놓고, 삼투압을 통해 영양소를 추출했다. 

또한 30~40도의 상온에서 잘못 발효를 진행하게 되면 소위 잡균이나 유해균이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공기중에는 무수히 많은 세균이 떠다니고 이 세균들은 먹이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한다. 

신 대표는 “그 중에는 유익균도 있지만, 유해균도 존재한다. 따라서 유해균이 완벽하게 억제되는 환경에서 발효해야 안전해 진다”며 “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바이오제닉아민 같은 유해균의 곰팡이 독소가 없는 진짜 발효액을 먹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발효조건을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개발된 것이 전통발 홍삼의 초고온 발효법이다. 65도 이상의 고온에서 살아남는 유익균을 통한, 신개념 발효법이다. 

대다수의 유익균은 65도 이상의 고온에서 살 수 없다. 하지만 강력한 유익균은 고온에서 발효가 가능하다. 높은 온도에 자체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곰팡이 독소와 잡균의 오염이 완벽하게 차단된 초고온 발효는 강력한 신균주를 보유하여야만 가능하고, 프리미엄 S의 초고온발효는 이번에 개발된 전통발 홍삼만이 보유한 신개념 발효기술이다. 

차별점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65도 이상의 초고온에서 발효한다. 
2. 유해균 및 잡균의 오염가능성이 없다. 
3. 초고온 고압에서 견디는 내성으로 강력한 발효대사물질을 생성한다. 
4. 먹기에 불편함이 없고, 목 넘김이 엄청나게 부드럽다. 
5. 쓴맛이 없다.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SBA, 서울에너지공사와 맞손...에너지·환경 분야 실증 지원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서울시의 미래 혁신성장 동력을 만드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대표이사 김현우, 이하 ‘SBA’)과 서울에너지공사(사장 황보연, 이하 ‘공사’)가 에너지·환경 분야에서 미래 혁신을 이끌 민간 기술 지원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지난 10일 서울창업허브 엠플러스에서 'ESG 개방형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협력에 나선 것인데, 이번 협약은 공사가 보유한 에너지 인프라를 민간에 개방형 테스트베드로 제공하고, SBA가 기술 공모, 사업화 연계 등 기업지원에 협력하는 공공-민간 협력형 실증 모델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SBA는 기술 공모 및 사업화 연계를 주도하고, 공사는 전기차·수소차 충전소, 열수송관,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에너지 인프라를 개방해 테스트베드로 제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기술은 갖췄으나 실증 공간이 부족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많은 혁신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성장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 대상은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 향상, 설비 국산화 등 ESG 가치 실현과 직결되는 기술들이며, 우수 기술에 대해서는 판로 개척 및 사업화 등의 연계지원도 이뤄진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