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구름조금동두천 16.9℃
  • 맑음강릉 11.0℃
  • 맑음서울 16.1℃
  • 구름많음대전 17.7℃
  • 구름조금대구 15.3℃
  • 맑음울산 11.0℃
  • 구름많음광주 14.9℃
  • 맑음부산 13.0℃
  • 맑음고창 11.5℃
  • 흐림제주 11.4℃
  • 맑음강화 13.0℃
  • 구름조금보은 15.3℃
  • 구름많음금산 15.0℃
  • 구름많음강진군 14.3℃
  • 맑음경주시 13.5℃
  • 구름조금거제 13.0℃
기상청 제공

미세먼지 잡는 기술 ’PCT 국제특허출원 증가세 뚜렷


(산업경제뉴스) 특허청에 따르면, 미세먼지 관련 기술에 대한 국제특허는 최근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317건이 출원되었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28건이 출원되었으나, 2015년부터 2017년 9월까지 연평균 40건이 출원되어, 지난 7년간 출원대비 최근 3년간 출원건수가 4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관련 주요 기술별 출원건수는 ▲여과/분리 기술이 120건(37.6%), ▲집진 기술이 59건(18.7%), ▲측정 기술이 27건(8.5%), ▲저감 기술이 111건(35.2%)이다.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LG전자(LG ELECTRONICS), 아모레퍼시픽(AMOREPACIFIC), 포스코(POSCO) 등의 국내기업과 샤프(SHARP), 태평양 시멘트(TAIHEIYO CEMENT), 도레이(TORAY INDUSTRIES) 등의 일본 기업의 출원이 많았고, 그 외 BASF(바스프), 보쉬(BSH BOSCH), 지멘스(SIEMENS) 등의 독일 기업이 상위 출원기업에 포함된 것이 눈에 띈다.

특히 미세먼지 관련 기술은 상위 출원기업의 출원이 34건(10.5%)에 불과하고, 중소기업, 개인, 연구소, 학교 등의 출원이 283건(89.5%)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특정 기업에 집중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원이 접수된 수리관청별로 살펴보면, 한국 특허청에 가장 많은 75건(23.7%)이 출원되었고, 이어서 일본 특허청에 74건(23.3%), 유럽 특허청에 53건(16.7%), 중국 특허청에 26건(8.2%), 미국 특허청에 23건(7.3%), 기타 66건(20.8%)의 순으로 출원되었다.

미세먼지 관련 출원이 한국 특허청과 일본 특허청에 가장 많은 144건(47%)이 출원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한국과 일본이 중국과 몽골 내륙에서 발생하는 황사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앞으로도 미세먼지 관련 기술의 PCT 국제특허출원은 한국, 일본 특허청에 더욱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허청 김재문 국제특허출원심사2팀장은 “미세먼지는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되어 앞으로도 출원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라고 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미세먼지 관련 핵심기술의 특허전략 수립을 위하여 PCT 국제특허출원과 같은 유용한 제도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이디야커피, 창립 24돌 기념식 개최...내실성장 다짐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이디야커피가 창립 24주년을 맞아 문창기 회장과 조규동 대표이사를 비롯한 본사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지속 성장과 내실 있는 도약을 다짐했다. 지난 1일 이디야커피 사옥에서 진행된 기념식은 장기 운영 가맹점에 대한 시상을 시작으로, 장기근속 직원들을 포함해 자사 성장과 발전에 기여한 모든 임직원을 격려하는 자리가 이어졌다. 문창기 회장은 창립기념사를 통해 “이디야커피는 지난 24년 동안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묵묵히 성장해왔다”며 “앞으로 더 큰 도약을 위해 속도감 있는 업무처리와 책임 있는 자세, 그리고 새로운 변화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태도로 각자의 역할에 집중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부서와 직급을 넘는 유연한 소통은 조직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핵심 요소”라며 “서로를 존중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건강한 조직 문화를 만들어가자”고 당부했다. 이디야커피는 실효성 있는 상생 정책과 현장 중심의 소통 강화를 통해 가맹점과의 신뢰를 공고히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단순한 가맹 사업을 넘어 ‘신뢰를 기반으로 한 동반 성장’이라는 모범적 프랜차이즈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