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많이 좋아졌지만 아직도” 전기차 초기품질문제 내연차보다 1.2배 많아

새차 100대당 문제점 수 전기 140건, 내연 118건
지난 2년 1.6배 차이 열세에서 올해 1.2배로 줄어
국산·수입 전기차 간 문제점 수 차이는 거의 없어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초기품질은 내연차를 따라잡을 수 없을 거라던 전기차의 약진이 거세다. 전기차 구입자가 경험한 문제점 수가 1년 새 20% 이상 감소해 내연기관차의 1.6배에서 1.2배 수준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시장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올해 ‘연례 자동차 기획 조사’에서 새차 구입 후 1년 이내(2024년 7월~2025년 6월 구입)인 소비자에게 그간 경험한 문제점을 물어본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2024년 7월부터 2025년 6월 사이 새차를 구입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100대당 문제점 수(PPH: Problems Per Hundred)를 기준으로 초기 품질 지수(TGW-i)를 산출해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비교했다.


그 결과, 이전에 비해 전기차의 포기품질 문제가 대거 개선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차량의 평균 PPH는 121로 집계됐다. 전기차는 140 PPH, 내연기관차는 118 PPH로 전기차가 1.2배 더 많았지만, 이는 지난 2년간 유지됐던 1.6배 격차에서 크게 줄어든 수치다.



특히 전기차의 문제점 수는 지난해 190 PPH에서 올해 140 PPH로 50건 감소하며 약 26% 개선됐다. 문제를 경험한 소비자 비율도 55%에서 43%로 12%포인트 줄었다. 반면 내연기관차는 119 PPH에서 118 PPH로 사실상 변화가 없었고, 문제 경험 비율도 38%에서 36%로 2%포인트 감소에 그쳤다.


문제 유형별로는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모두 ‘소음·잡소리’와 ‘전기장치·액세서리’ 부문에서 가장 많은 불만이 제기됐다. 전기차는 각각 26.2 PPH, 25.0 PPH였고, 내연기관차는 18.9 PPH, 16.8 PPH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배터리나 엔진 같은 핵심 구동장치보다 감성적 요소인 소음과 내장 마감 등에서 더 많은 문제점이 보고됐다는 것이다. 이는 전기차의 주요 기계 부품 품질이 안정화된 반면, 조립 완성도나 내장 품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여전히 존재함을 시사한다.


전기차의 정숙성이 오히려 미세한 소음을 더 부각시키는 ‘역설적 현상’도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체 강성 보강과 감성 품질 개선을 위한 종합적인 품질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기차를 원산지별로 비교한 결과, 국산차는 139 PPH, 수입차는 140 PPH로 사실상 차이가 없었다. 다만 국산차는 내장·인테리어, 소음·잡소리, 구동계에서 더 많은 문제점이 지적됐고, 수입차는 전기장치·액세서리, 브레이크, AV시스템에서 상대적으로 불만이 많았다. 각 브랜드가 강점을 보이는 품질 영역이 뚜렷한 만큼, 취약 부문에 대한 전략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전기차의 초기 품질은 전방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배터리·전장 관련 결함은 많이 해소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제는 단순한 부품 결함을 줄이는 수준을 넘어, 소비자가 실제로 느끼는 정숙성, 내장 품질, 조작 경험 등 체감 품질을 향상시키는 단계로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