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23 (화)

  • 맑음동두천 -13.0℃
  • 맑음강릉 -9.5℃
  • 맑음서울 -11.9℃
  • 맑음대전 -8.6℃
  • 맑음대구 -7.1℃
  • 맑음울산 -6.6℃
  • 광주 -4.8℃
  • 맑음부산 -5.4℃
  • 흐림고창 -5.1℃
  • 제주 0.7℃
  • 구름많음강화 -10.9℃
  • 흐림보은 -8.9℃
  • 구름많음금산 -8.5℃
  • 맑음강진군 -3.4℃
  • 맑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4.3℃
기상청 제공

기획PLUS

[철강사 '19 실적] 포스코 3년만에 다시 실적 하락...매출 0.9%↓, 영업이익 30.2%↓

2018년 3분기 이후 다섯 분기 연속 감소세 이어져
매출 64조3668억, 영업이익 3조8689억, 당기순이익 1조9826억원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중국의 저가철강 공세에서 벗어나며 실적이 상승하던 포스코가 3년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포스코는 올해 긴축경영을 선언하고 실적을 방어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올해 매출계획을 지난해보다 낮춰 잡는 등 만만치 않은 한 해가 될 것을 예고했다.


포스코가 시장에 공시한 2019년 연간 잠정 연결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은 64조3668억원, 영업이익은 3조8689억원, 순이익은 1조9826억원을 실현했다. 


2018년보다 매출은 0.9%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30.2% 감소해서 큰 감소폭을 보였다. 다행히 순이익은 4.8% 증가하면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무엇보다 중국의 저가 철강공세로 2012년 이후 실적이 크게 하락해서 2015년에는 적자까지 났던 포스코가 2016년부터 매출도 이익도 회복세를 보이며 한숨을 돌렸는데, 3년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자 업계에서는 이전의 부진이 다시 시작되는 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실적 감소에 대해서 포스코측은 컨퍼런스콜을 통해 "글로벌 경기둔화와 수요산업 침체,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어려운 여건"이었다고 설명하고, "이런 가운데도 고부가가치 제품인 WTP(월드톱프리미엄) 판매 확대, 계열사들의 실적 개선 노력으로 이익 감소 폭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 WTP 철강제품의 사상 첫 1000만톤 판매 돌파와 함께 계열사인 포스코 인터내셔널 미얀마가스전 판매 호조,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 구조개편 등이 불황 속에서도 수익성 하락을 최대한 방어하는 동력이 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포스코의 지난해 분기실적을 살펴보면, 4분기에 매출은 16조431억원, 영업이익은 5576억원, 당기순이익은 260억원을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2018년 3분기 1조5311억원을 달성한 후 다섯 분기 연속 감소해서 지난 4분기에는 3분의 1 수준이 됐다.


또, 당기순이익은 260억원을 실현해서 사실상 이익이 거의 나지 않은 모습이다. 포스코는 2018년 4분기에도 영업이익은 1조2715억원 흑자를 냈지만 당기순이익은 8295억원 적자를 내는 등 유독 4분기에 당기순이익이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포스코는 연간 기준의 당기순이익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며 주주에 대한 현금배당은 지난해와 같은 1만원(분기배당 6000원, 결산배당 4000원)을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배당총액은 3205억원이며 시가배당율은 1.6%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는 2017년 주당 8000원(분기배당 4500원, 결산배당 3500원), 2018년에는 1만원(분기배당 5000원, 결산배당 5000원)으로 배당금을 확대하면서, 향후 3년간 배당성향 30%를 제시한 바 있다.




포스코는 2019년 잠정실적 발표와 함께 2020년 실적 전망도 함께 발표했다. 


매출은 2020년에 연간 63조794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며 올해보다 0.89% 감소한 수치를 제시했다. 매출 전망을 낮게 책정하는 것은 이례적인 모습으로, 그만큼 올해 경영환경이 녹녹치 않을 것이라는 걸 시사한다. 조강생산과 제품판매 목표는 각각 3670만톤, 3500만톤이다.


또, 2020년에는 철강부문의 경쟁력 강화와 신성장 부문 육성을 위해 6조25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지난해에 당초 투자계획의 절반인 3조원 투자에 그친 바 있다.


■ 프리미엄제품·친환경차 확대, 스마트팩토리·이차전지소재 강화


한편 포스코는 올해 미래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WTP제품 판매를 지속적으로 늘리 한편, 지역과 산업별 적정 가격정책으로 수익성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미래 신(新)모빌리티 전환 등 수요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차 대상으로 통합 마케팅 체제를 구축하고, 친환경·프리미엄 강건재 제품은 기존시장과 차별화 정책으로 판매기반을 확충할 계획이다.


생산현장에서는 생산성·품질·원가경쟁력 개선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팩토리를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본사와 해외법인의 품질보증체계를 혁신하여 글로벌 ‘One POSCO, One Quality’ 생산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사업에 대해서는 이차전지소재인 양·음극재 생산능력 확충과 마케팅 역량을 제고해나갈 계획이다. 또 이미 확보한 호주 리튬 광산과 아르헨티나 염호 자원을 활용해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인 리튬을 상업생산할 수 있도록 설비투자를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포스코의 올해 영업방침과 신사업 구상에도 불구하고 증권시장에서는 포스코가 올해 1분기에도 부진한 성적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1조5000억원의 호주 로이힐 광산 투자가 철광석 원료 수급 안정에 기여한 바가 크지 않을 뿐더러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1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수준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중국 철강 재고가 급증해서 중국의 재고 소진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역내 철강 가격 하방 압력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포스코의 주 원료인 철광석 가격은 2018년 1톤당 70달러에서 지난해 94달러로 대폭 상승해서 포스코에게 큰 부담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원료 가격은 오르는데 제품가격은 올리기 힘든 상황이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포스코 측은 "원자재 가격이 올랐지만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전방 산업이 부진해 판매가에 반영하지 못했다"며 "올해는 가격을 인상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 측은 또 "시황악화 속에서도 재무건전성을 지속 개선했다"며 재무구조 건전성을 강조했다.


포스코의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전년대비 1.9% 포인트 감소한 65.4%로 2010년 이래 최저 수준이며 순차입금은 7조 9782억원으로 전년대비 1조 5534억원이나 감소했다. 이와함께 보유현금도 지난해보다 1조 7857억원 증가한 12조 4634억원을 갖고 있어 재무 안정성이 강화됐다고 포스코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