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뉴스 강민구 기자] 롤스로이스가 아시아태평양지역의 항공모빌리티 시장을 전망하면서, 한국도 30년 이내에 38억 달러(한화 약 4조5600억원)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보고서를 내놨다.
롤스로이스는 롤랜드버거와 함께 아태지역의 항공 모빌리티 시장 잠재력을 조사했다. 이 조사에서는 250km에 이르는 도시간 항공편, 시내택시, 공항셔틀 등 도심 에어택시(VTOL : 수직이착륙 Vertical Take-Off and Landing)에 대한 분석이 이뤄졌다.
롤스로이스는 이번 조사를 통해 2050년까지 아태지역에서만 369억달러의 매출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서울과 싱가포르, 도쿄 같은 대도시가 아태지역 항공모빌리티산업의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2050년까지 일본에서 16,400대의 승객용 항공기가 운영될 것이며, 매출은 약 14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한국은 30년 이내에 38억달러의 상업적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했다. 싱가포르는 3억5천만달러로 추산했다.
롤스로이스 전기사업부 사장 롭 왓슨은 “이번 시장 조사는 아태지역의 상업적 잠재력과 어떻게 전기여객운송 도입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면서,
“롤스로이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지원하기 위해 완전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을 개발·공급하는데 앞장서고 있다”고 말했다.
롤스로이스는 전기 및 하이브리드 전력 시스템과 추진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전문팀을 통해 eVTOL과 eSTOL(electric Short Take-Off/Landing) 및 전기 고정익 커뮤터기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또,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eVTOL 항공기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기 기술을 지원하며,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는 이미 사전 주문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한편, 롤스로이스는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큰 항공사 위데뢰에와 함께 출근여객을 위한 전기여객기 공급을 추진하고 있고 항공모빌리티 유지보수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공항과 수직 이착륙 비행장에 충전 및 에너지 인프라를 공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