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에너지 전환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가 지대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자료는 2035년 공적 수출금융 지원으로 발생하는 국내 취업 유발 효과 [자료=기후솔루션]](http://www.biznews.or.kr/data/photos/20251147/art_17633634048971_ac471a.png)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한국의 공적 수출금융이 화석연료 중심에서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전환될 경우, 국내에서 창출되는 일자리가 현재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후솔루션과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는 17일 '한국 공적 수출금융의 전환: 화석연료에서 청정에너지로의 글로벌 전환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주장했다. 이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넷제로 시나리오(NZE)를 기준으로 2035년까지 공적 수출금융이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재편될 경우 최대 110,616명의 고용이 유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20~2024년 평균 수준인 51,497명과 비교해 59,119명 증가한 수치다. 특히 청정에너지 분야에서만 79,406명의 일자리가 새롭게 창출되며, 이는 기존 대비 10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반면, 화석연료 산업에서 발생하는 고용은 45,685명에서 31,210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한국의 공적 수출금융이 여전히 화석연료 중심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청정에너지 지원은 배터리 제조에 편중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5년간 전체 수출금융의 약 75%가 천연가스와 석유 프로젝트에 집중된 반면,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발전 및 저장 인프라에 대한 지원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또한 보고서는 2040년까지 공적 수출금융 포트폴리오를 100% 청정에너지로 전환하는 시나리오도 제시했다. 초기에는 국내 조달율이 낮아 단위당 고용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지만, 공급망 국산화와 산업 경쟁력 강화가 병행된다면 10억 원당 고용유발효과는 6.14명에서 6.59명으로 개선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기후 대응을 넘어, 수출 주도형 경제 구조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전략적 기회로 평가된다.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김보람 부연구위원은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는 국내 고용 창출의 핵심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수출금융의 방향 전환은 산업 경쟁력 강화와도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공적 수출금융의 청정에너지 전환 목표를 제도화하고, 석유·가스 프로젝트에 대한 금융 지원은 단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태양광, 해상풍력, 배터리 등 핵심 부품의 국내 생산을 확대하고, 배터리 산업과 순환경제 기반의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고용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