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미국의 글로벌 기업들과 손잡고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한수원은 지난 25일 워싱턴 D.C 윌러드 콘티넨탈 호텔에서 두산에너빌리티, 아마존, 엑스에너지와 SMR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6일 밝혔다.
협약 체결에 성공한 한수원은 X-energy가 개발한 차세대 SMR ‘Xe-100’을 기반으로 한 Amazon의 데이터센터 및 산업용 전력 공급을 위한 맞춤형 원전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심산이다.
Amazon은 자사의 청정에너지 목표 달성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SMR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한수원과 X-energy가 설계부터 건설, 운영, 금융, 공급망 평가 등 전 주기에 걸쳐 협력한다.
특히 Amazon은 2039년까지 Xe-100을 60기 이상 건설해 총 5GW 이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50년까지 전 세계 원자력 용량을 최소 3배 확대하자는 ‘Large Energy Users Pledge’에도 서명한 바 있다.
X-energy는 미국 에너지부(DOE)의 지원 아래 Xe-100 상용화를 추진 중이며, 현재 텍사스주 다우 케미컬 부지에 원전 건설을 위한 허가를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에 신청한 상태다.
한수원은 이번 협력을 통해 자사의 원전 설계·건설·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미국 내 데이터센터 및 산업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현지 시장에서의 입지를 조기에 확고히 할 계획이다.
황주호 사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안보 확보를 위해 SMR 도입을 희망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으며, SMR 개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며 “Amazon의 청정에너지 비전 달성을 지원함과 동시에, 한수원도 글로벌 SMR 시장을 선도할 역량을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