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 전기차 전 차급 대응 양극재 포트폴리오 완성

  • 등록 2025.08.21 11:05:45
크게보기

프리미엄 전기차용 울트라 하이니켈, 스탠다드 전기차용 고전압 미드니켈 파일럿 개발
다양한 고객 수요 대응하여 양극재 시장 사업경쟁력 강화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포스코퓨처엠이 프리미엄부터 엔트리급까지 모든 전기차 시장을 아우를 수 있는 양극재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사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포스코퓨처엠은 프리미엄 전기차용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와 스탠다드 전기차용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의 파일럿 개발을 완료했다고 21일 밝혔다. 기존에 공급하던 니켈 함량 80% 이상의 N8x 양극재에 더해, 이번 신소재 개발로 고객 수요에 더욱 폭넓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다.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을 95% 이상으로 높여 에너지밀도를 극대화한 프리미엄 소재다. 이를 통해 주행거리를 늘리고, 도심항공교통(UAM)이나 자율주행차 등 고전력 모빌리티에도 적합한 성능을 갖췄다. 


포스코퓨처엠은 열안정성과 수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결정 소재와 다결정 소재를 복합 적용하고, 표면 코팅 및 부원료 투입을 통해 구조 안정성을 확보했다. 또한 소성공정의 생산성을 개선해 원가 경쟁력도 높였다.


스탠다드 전기차용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을 약 60%로 낮추는 대신 고전압 설계를 통해 에너지밀도를 확보한 소재다. 망간 비율을 높이고 단결정화를 적용해 충·방전 시 수축과 팽창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을 강화했다. 


제조 공정에서는 무공침 전구체를 활용하고, 고가 원료인 니켈과 코발트 비중을 줄이는 한편, 수산화리튬 대신 탄산리튬을 사용해 가격 경쟁력도 확보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들 양극재의 양산 기술을 확보해 국내외 완성차 및 배터리 제조사에 적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앞서 지난 5월에는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과 함께 LMR 양극재의 파일럿 개발도 완료했다. LMR 양극재는 기존 생산라인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고, LFP 양극재 대비 리사이클링 가치가 높아 엔트리급 전기차 시장에서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황화리튬, 고체전해질, 리튬메탈음극재 등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며 미래 배터리 산업을 선도할 계획이다.




손영남 기자 son361@biznews.or.kr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회사명 : 주식회사 지식품앗이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8-73852 ㅣ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아04803ㅣ등록일 : 2017.10.26ㅣ발행일 : 2017년 11월 5일 제호 : 산업경제뉴스 ㅣ발행인 : 양학섭ㅣ편집인 : 민경종 주소 : 03443 서울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제이제이한성B/D B1 (신사동) ㅣ 전화번호 : 070-4895-4690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