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밖에 놓인 메탄, 이산화탄소보다 파괴력 수십 배 높아

  • 등록 2025.08.02 15:03:20
크게보기

이산화탄소보다 수십 배 강력한 온난화 효과 발휘하는 존재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기후위기의 주적을 꼽으라면 이견의 여지없이 등장히는 것이 이산화탄소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닐지도 모른다. 최근 과학자들과 환경단체, 그리고 국제기구들이 주목하는 또 다른 존재가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메탄이다. 


이산화탄소와는 달리 짧은 시간, 대기 중에 머물지만 그것만으로도 강력한 온난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메탄이다. 이산화탄소보다 수십 배 강력한 온난화 효과를 지닌 메탄을 그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점차 힘을 얻는 이유다. 이것이 한국에 시사하는 바는 적지 않다. 적지 않은 메탄을 배출하면서도 정작 그에 대한 대응에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현 상황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다.


◆ 메탄 감축으로 단기적 기후 안정화 구현 가능해

메탄이 기후 대응의 레이더에 쉽게 포착되지 않는 이유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턱없이 낮은 배출량 때문이다. 2020년 기준, 대한민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6억 5천만 톤 수준인데 반해 메탄의 배출량은 2,740만 톤에 불과하다. 메탄은 전체 온실가스의 4.2%를 차지하는 정도에 그친 것. 사정이 이렇다보니 온실가스 대응의 전반적인 방향이 이산화탄소로  몰린 것이다.


그러나 이런 이유로 메탄에 대한 경각심을 떨어뜨리는 것은 현명한 처사가 아니다. 메탄의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말이다. 메탄은 대기 중에서 약 12년 동안 머무르며, 20년 기준 지구온난화지수(GWP)가 이산화탄소보다 약 80배 높다. 


세계기상기구(WMO)는 2025년 1~9월 평균 지구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상 상승했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파리협정이 설정한 기후 재앙의 마지노선을 이미 넘어서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온도 상승의 약 30%가 메탄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을 정도로 메탄이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는 바는 무시못할 수준이다.


메탄 감축이 단기적으로 기후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연구도 있을 정도. 특히 사회적 취약계층이 많은 지역에서는 메탄 감축의 편익이 더욱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미국은 2010년 이후 온실가스의 사회적 비용(Social Cost of Greenhouse Gases)을 공식적으로 산정해왔으며, 메탄(SC-CH₄)의 사회적 비용 역시 연도별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은 전 세계 기후 피해비용의 약 0.9%를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5년 6월, 기후솔루션과 Carbon Limits는 공동 보고서 ‘문제에 해답이 있다: 화석연료 수입국 한국의 메탄 감축을 통한 사회적 편익’을 발표하며, 한국이 저메탄 화석연료 수입 정책을 도입할 경우 국내외적으로 막대한 기후 피해 저감 편익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으로 화석연료를 수출한 국가들에서 발생한 메탄 배출량은 약 4,670만 톤 CO₂e 수준으로, 이는 국내 에너지 부문 메탄 배출량의 약 10배에 달한다. 보고서는 IPCC 6차 보고서의 1.5°C 및 2°C 감축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메탄 감축 잠재량과 편익을 분석했으며, 1.5°C 시나리오에 따라 메탄 배출을 줄일 경우 210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최대 약 200조 원, 국내에서는 약 1.7조 원 규모의 편익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편익은 자연재해 회피, 농업 생산성 향상, 공중보건 비용 절감, 조기 사망률 감소 등 사회 전반의 피해를 줄이는 효과를 포함한다. 이런 기대효과를 놓칠 수는 없는 일이다. 유럽연합(EU)은 이미 2030년부터 메탄 배출량이 기준을 초과하는 수입 화석연료에 대해 과징금을 부과하는 제도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메탄 감축을 위한 행보에 힘을 더하고 있다.


미국은 연간 2만 5000톤 이상의 메탄을 배출하는 석유·가스 시설에 폐기물 배출 요금을 부과하고, 제3자의 감시 및 보고를 인정하는 강도 높은 규제를 시행 중이다. 캐나다 역시 메탄 배출량을 정량화하기 위한 최신 기술을 도입했고, 국제 협력 프레임워크인 OGMP 2.0을 통해 기업의 자발적 감축을 유도하고 있다. 메탄 감축이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인지하고 잇다는 뜻이다.


◆ 30% 감축 목표로는 무리.. 2배는 더 돼야 효과

세계 각국에서 이어지는 이런 움직임이 한국에서는 쉽사리 발견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2023년 11월 ‘2030 메탄 감축 로드맵’을 발표하며 2020년 대비 3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며 의지를 드러냈지만 기후솔루션은 이 목표로는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인구수 기준으로 모델링한 결과, 현재 목표보다 약 2배 많은 감축량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정부는 농업, 폐기물, 에너지 부문별로 각각 34.2%, 49%, 22.7%의 감축 목표를 설정했지만, 보고서는 이 수치가 각 부문의 감축 잠재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에너지 부문은 2040년 이후 ‘음수 배출’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는 국내 배출량을 제로로 만드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해외에서 발생하는 메탄까지 감축해야 한다는 뜻이다. 현재보다 훨씬 강화된 자구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뜻이지만 안타깝지만 현재 상황은 그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 세계 5대 석유·가스 수입국임에도 불구하고, 수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에 대한 규제는 전무하다는 것이 그를 잘 보여준다. 2025년 3월 기후솔루션과 서울대 유종현 교수팀이 공동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이 수입한 화석연료 생산국에서 발생한 메탄 배출량은 약 4670만 톤으로, 국내 에너지 부문 메탄 배출량의 10배에 달한다. 보고서는 이 수입 메탄을 규제할 경우 2100년까지 전 세계 기후 피해를 약 165조 원 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를 수행하려면 전담 부서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등 주무 부처에는 메탄 관리 전담 인력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더해 기업의 대응력도 ‘제로’ 수준이며, 메탄 배출량 측정 체계조차 마련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측정할 수 없으면 관리할 수 없고, 관리할 수 없으면 개선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메탄 감축을 위한 기술 개발과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메탄은 줄이기 쉬운 온실가스이며, 감축 효과도 빠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한국은 아직도 이산화탄소 중심의 대응에 머물러 있으며, 메탄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 대응이 절실하다. 그것이 기후 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의 의무이기 때문이다. 


손영남 기자 son361@biznews.or.kr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회사명 : 주식회사 지식품앗이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8-73852 ㅣ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아04803ㅣ등록일 : 2017.10.26ㅣ발행일 : 2017년 11월 5일 제호 : 산업경제뉴스 ㅣ발행인 : 양학섭ㅣ편집인 : 민경종 주소 : 03443 서울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제이제이한성B/D B1 (신사동) ㅣ 전화번호 : 070-4895-4690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