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쌓이는 마일리지, 커져가는 에너지 안보

  • 등록 2025.06.29 09:55:22
크게보기

[산업경제뉴스 이유린 기자] 보통 사람이라면 한번 가기도 힘든 미국을 마치 부산이나 전주를 가듯 다니는 이가 바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다. 7월이 시작되기 무섭게 다시 미국을 찾는다는 소식이다.


지난 22일, 미국을 찾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를 만나 관세 관련 협의를 마치고 돌아온 지가 불과 이틀 전의 일이었다. 그런 그가 시차 회복도 제대로 하지 못한 상태에서 다시 미국 출장길에 오른다.


미처 못다한 말이 있었던 걸까. 미국발 관세 공포가 전 세계를 경악에 빠뜨린 시점이니 잦은 미국 방문이 생경한 일은 아닐 테지만 그럼에도 이색적인 것만은 분명하다. 




사실 내달 이루어질 그의 방미는 조금은 다른 성격을 띠긴 했다. 그의 손에 들린 것이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수입 확대 방안 카드였다는 점이 그렇다.


이조차도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긴 하지만 우리 입장에선 에너지 안보 확보를 위한 복안이니만큼 그에 시선이 몰릴 것은 당연하다. 


아는 이들은 알겠지만 한국은 LNG 수요의 거의 전부를 수입에 의존하는 입장이다. 이 말은 곧 모래 위에 에너지 발전 설비를 세워놓은 것이나 다름없다는 뜻이다. 자칫 모래가 파도에 쓸려나가기라도 한다면 공들여 세워놓은 설비가 무너질 수도 있다.


누구에게 얼마나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가는 곧 국가 안보의 기준이 된다. 전형적인 자원 빈국인 우리로선 수 차례 이에 관한 테스트를 받아왔고 그때마다 간신히 낙제점을 면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따라서 이번 여 본부장의 방미는 보다 나은 점수를 획득하기 위한 준비과정이라고 봐야 옳다.


그동안 시험 준비에 게을렀다는 뜻은 아니다. 말레이시아·호주·카타르 등 기존 수입국에 더해 파푸아뉴기니, 적도기니 등 신규 공급국을 개발하는 등 수입선 다변화를 꾸준히 진행해왔던 것이 그 증거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안심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가는 미국이다. 2024년, 한국의 LNG 총 수입량 4,600만 톤 중 미국이 담당한 것은 560만 톤 정도다. 전체의 12% 수준에 불과한 것. 수입선 다변화 정책을 표방하는 우리로서는 이상적인 숫자로 생각할 수 있지만 미국의 입장은 다를 수도 있다. 


에너지의 전략 무기화를 통해 상대를 컨트롤하는 것만큼 효율적인 방법이 드물다는 걸 고려하면 미국으로선 그 숫자를 대폭 늘리고 싶어하는 것이 당연하다. 어차피 LNG 수입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미국과의 줄다리기를 통해 얻어낼 것은 얻어내고 양보할 것은 양보하는 전략 구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화두이긴 하지만, 그 과도기에서 선 지금, LNG는 여전히 전력과 난방의 중심축으로 기능한다. 글로벌 정세의 변화에 아랑곳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 구축이야말로 향후 우리 에너지 안보를 굳건히 할 묘안이다. 


얼마를 들여오는가가 중요한 게 아니다. 중요한 건 들여오는 유입선의 다층적이고 유연한 구조다. 그를 위해 움직이는 것이 외교와 통상인 것이고. 다시 미국으로 향하는 여 본부장의 발끝을 유심히 바라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의 마일리지가 쌓이는 만큼 우리의 에너지 안보도 굳건해질 것이라 믿어본다. 


이유린 기자 lyl8282@biznews.or.kr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산업경제뉴스| 등록정보:서울,아04803ㅣ등록일:2017.10.26ㅣ발행일:2017년 11월 5일 발행인 : 주식회사 지식품앗이 양학섭ㅣ편집인 : 민경종 주소 : 03443 서울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제이제이한성B/D B1층 (신사동) ㅣ 전화번호:070-4895-4690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