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6 (토)

  •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12.7℃
  • 맑음서울 6.1℃
  • 맑음대전 4.6℃
  • 맑음대구 10.8℃
  • 맑음울산 11.4℃
  • 맑음광주 5.7℃
  • 맑음부산 13.3℃
  • 맑음고창 0.3℃
  • 맑음제주 9.0℃
  • 맑음강화 2.5℃
  • 맑음보은 2.0℃
  • 맑음금산 0.4℃
  • 맑음강진군 2.4℃
  • 맑음경주시 12.3℃
  • 맑음거제 7.0℃
기상청 제공

기획PLUS

[주택동향] 재건축 서초 아파트값 급등...전문가들 "집값 안정은 2년 후에나"

주간 상승률 서초 0.09%, 성동 0.07%, 분당 0.04% 상승세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금융규제 강화로 하락하던 주택값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새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재건축·금융·세제·임대차 등 문재인 정부의 주택규제를 완화하는 정책때문으로 시장은 분석하고 있다. 


이렇게 주택가격이 다시 들썩이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전문가들의 절반 이상은 우리나라 주택가격 안정시기를 2년 이후라고 예측했다. 


새정부의 부동산정책 가운데, 가격을 상승시키는 정책은 빠른 시기에 효과가 나타나는 반면, 가격을 안정시킬 수 있는 공급확대 정책은 일정 기간이 필요하기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매주 수도권 아파트가격을 조사하고 있는 부동산114에 따르면 4월 셋째주 서울 아파트가격의 주간상승률은 0.02%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금융규제가 강화된 이후 0.00%까지 축소됐던 상승률이, 대선이 끝나고 4월에 들어오면서 3주 동안 상승세를 타고 있는 모습이다.


부동산114는 새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꿈틀거리는 것이라면서, 강남권 주요 재건축 아파트와 1기 신도시 노후 단지들의 상승세에 힘입어, 매수 문의가 늘고 서울과 신도시들의 아파트가격이 오름폭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건축 아파트가 몰려 있는 서초구 아파트가격은 지난주에 0.09%가 상승하면서 급등세를 보였다. 반포동 반포자이가 한 주만에 2,500~5,000만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그밖에도 성동구가 0.07%로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성수동 동아, 하왕십리 청계벽산 등이 1,500~4,000만원 올랐다. 영등포도 강변래미안, 경남아너스빌이 500~3,500만원 오르며 0.0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렇게 서울 아파트들이 오름세로 돌아선 가운데 마포는 -0.03%, 광진은 -0.02%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신도시 아파트가격은 일산이 0.09%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분당도 0.04%, 김포한강이 0.02%의 상승률을 보이며 신도시 전체 상승률을 0.02%로 끌어 올렸다.


경기인천 지역에서는 남양주와 구리가 0.08%로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인창동 건영이 250~500만원 올랐고 화도 신명스카이뷰그린 등이 500만원 올랐지만, 의정부, 광명, 인천 등 아파트가 하락하면서 평균적으로 보합세를 보였다.


부동산114는 "새정부가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를 5월 11일부터 시행해 시장에 매물을 유도하겠다고 하지만, 지금처럼 집값 상승세가 유지되면 매물이 나오기 힘들 것 같다"면서, "높은 집값과 이자부담으로 추격매수도 쉽지 않아 당분간 호가 중심의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렇게 새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주택가격이 다시 들썩이는 가운데, 부동산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되려면 앞으로 2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한국부동산학회 소속 부동산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차기정부 주택정책 관련 전문가 의견'을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인 58.2%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주택가격이 안정되는 시기를 2년 이후라고 대답했다.


또 새정부가 주택가격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가장 시급하게 실시해야하는 정책으로는,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25.7%), 공공주택 확대(20.8%), 다주택자 양도세 한시적 완화(20.8%)라고 응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주택 보유세 인하(10.9%), 임대사업자 제도 정비(9.9%), 부동산 담보대출 확대(5.9%)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또, 61.8%의 전문가들은, 올해 서울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한 반면, 비수도권 아파트에 대해서는 60.0%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주택가격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최근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주거 불안 문제로 인해 경제적·사회적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국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차기 정부는 규제완화를 통해 민간 주택시장을 정상화시키고, 공공투자를 통해 서민을 위한 주거복지 시설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주택정책을 시행하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